김학의 전 법무 차관에 대한 수사 외압 논란과 관련해 검찰 과거사위원회가 수사를 권고하자, 곽상도 당시 청와대 민정수
석은 경찰이 허위 보고를 했기 때문에 질책한 것이라고 해명을 했죠.
하지만 당시 경찰 수사팀의 핵심 관계자는 MBN과의 통화에서 김학의 동영상과 관련해, 김 전 차관 임명 전에 대면 보고를 포함해 최소 3차례 이상 청와대에 보고했고 관련 증거도 갖고 있다고 증언했습니다.
누구 말이 맞는 걸까요?
손기준 기자가 단독보도합니다.
【 기자 】
지난 2013년 김학의 전 법무 차관 사건 당시 경찰 수사팀의 핵심 관계자는 김학배 경찰청 수사국장이 청와대에 김 전 차관과 관련한 첩보를 '수 차례 보고 했다'고 증언했습니다.
문서와 유선은 물론 청와대에서 호출이 와 직접 방문 보고까지 했다고 밝혔습니다.
▶ 인터뷰 : 당시 경찰 수사팀 핵심 관계자
- "3월 초부터 3월 13일(임명 발표일) 사이에 전화 보고도 하고, 그 다음에 (청와대에) 호출당해서 가서 보고도 하고. 그 다음에 과장하고 팀장도 가서 보고했습니다."
청와대에 갔다 온 김 수사국장이 '질책을 받았다'며 난감한 표정을 지은 것도 기억했습니다.
또 당시 보고를 입증할 증거 자료도 가지고 있다며, 재수사가 시작되면 이를 제출하겠다고 밝혔습니다.
▶ 인터뷰 : 당시 경찰 수사팀 핵심 관계자
- "제가 자료 가지고 있습니다. 그게 저의 기억만으로 의존하는 것이 아니고, 필요한 자료 제출할 겁니다."
다만, 구체적인 자료의 내용이 무엇인지에 대해선 말을 아꼈습니다.
▶ 인터뷰 : 당시 경찰 수사팀 핵심 관계자
- "자료가 무엇인지는 말씀드릴 수 없어요. 제가 자료를 노출하는 순간, 상대방이 그것에 대해 대비를 하기 때문에…."
그러면서도 "김 수사국장이 수사에 미온적인 태도를 보여, 수사팀 관계자들이 모여 강력히 수사 개시를 설득했다"고 덧붙였습니다.
이런 증언들은 당시 청와대 민정수석이었던 곽상도 자유한국당 의원 등의 해명과 완전히 배치되면서 논란은 더욱 증폭되고 있습니다.
MBN뉴스 손기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