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가 미세먼지로 몸살을 앓고 있는 가운데, 미세먼지의 이동 경로를 파악할 수 있는 항공기가 운항됩니다.
미세먼지 범부처 프로젝트 사업단은 오늘(20일) 서울 LW컨벤션에서 '추진경과 공유회'를 열고 "대기에서 오염물질의 이동·반응·생성 과정 등을 파악할 수 있는 중형 항공기 개조를 완료했다"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국립환경과학원은 이달부터 이 항공기로 미세먼지 측정을 시작할 예정입니다. 사업단은 5∼6월과 9∼10월 이 항공기를 집중적으로 활용할 방침입니다.
사업단에 따르면 항공기는 서해 상공을 비행하며 미세먼지의 이동경로를 추적하는 임무를 맡습니다. 또 산업공단 지역의 대기질을 집중적으로 조사하는 데도 이용됩니다.
사업단은 이날 "미세먼지 등 공기 오염 물질의 생성 과정을 규명할 수 있는 실험장치인 '스모그 챔버'(Smog Chamber)도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안에 구축했다"고 밝혔습니다. 기존에는 7㎥짜리 소형급 챔버만 있었는데, 27㎥짜리 중형급 챔버도 마련한 것입니다.
과기정통부는 "중형급 챔버는 장기간의 미세먼지 변화를 관찰할 수 있어 장거리 유입 및 변환이 중요한 우리나라에서 특히 유용하다"고 설명했습니다.
아울러 미세먼지 저감 기술 개발 성과도 발표됐습니다. 미세먼지 생성의 원인물질 중 질소산화물과 황산화물을 각각 90% 이상씩 제거할 수 있는 촉매와 탈황제 개발이 대표 사례입니다.
문미옥 과기정통부 1차관은 "미세먼지는 국민의 건강하고 안전한 생활을 위협하는 문제로, 과학기술적 해결 방법이 필요한 상황"이라며 "과학기
미세먼지 사업단은 미세먼지 관리 기반을 구축하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17년 9월 출범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환경부, 보건복지부는 사업단에 2020년까지 총 496억원에 달하는 연구비를 투입할 예정입니다.
[MBN 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