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실상 마약이 일상화되다시피 했지만 정부의 대책은 적발과 처벌 위주입니다.
정확히 추정조차 안 되는 마약 환자를 치료해 사회로 돌려보내기 위한 정부 정책은 오히려 10년 전보다도 후퇴했습니다.
김지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기자 】
수년간 중독된 마약에서 겨우 벗어난 박 씨, 제대로 된 치료를 받기까진 반년이 걸렸습니다.
▶ 인터뷰 : 마약중독 치료자
- "(병원에서) 최종적으로 마약퇴치운동본부라는 곳이 있다더라. 한 번 가봐라. 저도 방황한 거예요."
전문적인 마약 치료를 위해 정부가 지정한 병원은 21곳입니다.
치료가 필요하다고 보고 검찰이 기소를 유예하거나 직접 병원에 오면 무료 치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정부가 최대 1년간 치료비 전액을 지원합니다.
하지만 이름만 지정병원일 뿐 병원 문턱은 높습니다.
환자를 거부하기도 하고,
▶ 인터뷰 : 지정병원 관계자
- "전문으로 하는 게 아니어서 다른 병원 알아보셔야…."
아예 지정병원인지도 모릅니다.
▶ 인터뷰 : 지정병원 관계자
- "무료 치료병원이오? 마약 관련해서요?"
▶ 스탠딩 : 김지영 / 기자
- "치료가 가능하다고 답한 병원은 전체의 절반에 불과합니다."
정부의 치료비 지원이 제때 이뤄지지 않아 병원들이 환자를 거부하는 겁니다.
▶ 인터뷰 : 천영훈 / 인천참사랑병원장
- "충분히 환자들이 치료받을 수 있는 정도의 예산이 확보가 안 돼 있는 게 문제인 거고요."
지난 10년간 치료보호 예산은 40% 넘게 줄어 연간 2억 4천만 원 정도에 불과하고 지정병원 수도 감소했습니다.
한 명당 입원 치료비를 2천만 원만 잡아도 10명 정도만 치료받을 수 있는 금액입니다.
사실상 자비가 아니면 치료가 쉽지 않은 셈입니다.
정부가 이처럼 마약 환자 치료에 손을 놓으면서 치료 의지가 있는 환자마저 다시 마약의 유혹에 흔들리고 있습니다.
MBN뉴스 김지영입니다. [gutjy@mbn.co.kr]
영상취재 : 배완호 기자
영상편집 : 김경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