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두환 씨가 5·18 광주민주화운동 39년 만에 오늘(11일) 피고인 신분으로 광주 법정에 섰습니다.
5·18 당시 헬기 사격을 증언한 고 조비오 신부 명예를 훼손한 혐의입니다.
광주지방법원에 나가 있는 취재 기자 연결합니다.
강세훈 기자!
현재 재판이 진행 중인가요?
【 기자 】
예, 전두환 씨에 대한 재판은 오후 2시 30분 광주지방법원 201호 법정에서 시작돼 조금 전 3시 00분에 끝났습니다.
오늘 재판은 전 씨가 지난 2017년에 쓴 회고록이 발단이었습니다.
전 씨가 5·18 당시 헬기 사격을 증언한 고 조비오 신부를 "파렴치한 거짓말쟁이"라고 한 것입니다.
하지만, 전 씨는 지난해 5월 불구속 기소된 이후 알츠하이머와 독감 등을 이유로 두 차례 재판을 연기했고, 구인영장이 발부되자 오늘 재판에 자진 출석했습니다.
【 질문 】
그렇다면, 이번 재판의 쟁점은 뭔가요?
【 기자 】
이번 재판의 쟁점은 전 씨가 회고록에 "헬기 사격이 없었다"라고 쓴 내용이 허위 사실인지, 전 씨가 허위 사실을 알고도 고의로 썼는지 입니다.
이에 대해 검찰은 혐의 입증을 자신하고 있습니다.
전 씨가 회고록을 펴내기 전 2017년 1월 이미 국과수의 탄흔 감정 결과가 나왔고, 또 지난해 국방부 특조위에서 헬기 사격이 있었던 것으로 밝혀졌기 때문입니다.
【 질문 】
전두환 씨가 오랜만에 모습을 드러냈는데요.
입장을 밝힌 게 있나요?
【 기자 】
전두환 씨가 광주 법원에 도착해 첫 마디는 "이거 왜 이래" 였습니다.
기자가 "발포명령을 부인하느냐"며 질문을 했는데, 얼굴을 찌푸리며 다소 짜증 섞인 목소리로 이렇게 말했습니다.
【 질문 】
5월 단체와 광주 시민들의 분위기는 어땠습니까?
【 기자 】
예, 경찰은 700여 명의 병력을 동원해 만일의 사태에 대비했는데요.
충돌은 없었습니다.
5월 단체와 광주 시민들의 반발도 예상됐지만, 우려와 달리 전 씨가 법원에 들어서는 모습을 비교적 차분하게 지켜봤습니다.
감정적으로 대응할 경우 전 씨가 이후 재판을 회피할 구실을 줄 수도 있다는 우려 때문입니다.
대신 법원 정문에서 '임을 위한 행진곡'을 부리고 '역사의 심판을 받아라'는 팻말 시위를 벌였습니다.
지금까지 광주지방법원에서 MBN뉴스 강세훈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