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정 서울대 총장이 학생부종합전형(학종)의 투명성을 높이고 장기적인 입학정책을 수립할 기구를 만들어 입시의 예측 가능성을 높이겠다는 구상을 밝혔다. 오 총장은 12일 서울대 관악캠퍼스 행정관에서 취임 첫 기자간담회를 열고 "총장 임기에 구애받지 않고 입학정책을 마련할 수 있는 교육위원회를 설치할 계획"이라며 "이를 통해 답만 잘 찾는 인재가 아닌, (특정 상황에) 문제를 제기하고 주변과 함께 성장할 수 있는 인재를 선발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위원회의 성격에 대해 오 총장은 "정부에서 교육위원회를 만드는 것과 비슷한 개념"이라며 "위원회 임기는 6년 정도로 생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최근 종영한 드라마 'SKY캐슬'에 대한 생각을 묻는 질문에는 "국민적으로 학종에 대해 상당한 불신이 있다고 느꼈다"며 "(불신의 원인은) 어떻게 뽑는지 모르겠다는 것"이라고 답했다. 그러면서 "예측 가능하도록 학종의 투명성을 높여야만 신뢰를 얻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학종 비율의 축소, 지역균형선발 확대에 관한 질문에는 "당장 답할 수 있는 사안은 아니다"라며 "어떤 방식이든 서울대의 공공성 강화에 기여할 수 있는 방향으로 활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교내 기계·전기 시설노조원들의 파업에 대한 견해도 내놨다. 오 총장은 "시설관리직 노동자들의 처우가 열악하다는 것을 인정하며 요구사항이 일리 있다고 생각한다"면서도 "파업할 권리는 존중하지만 학생을 볼모로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했다. 특히 "파업 직후 (시설 유지를 위해) 대체인력을 투입하려 했지만 노조가 저지했고 이는 파업권 밖에 있는 행위"라고 지적했다.
임기 동안의 각오도 전했다. 오 총장은 "우리 대학은 미국 하버드대나 MIT대의 연구성과를 찾아보지만 해외 선진 대학들이 우리 대학의 연구성과를 찾아 보진 않는 실정"이라며 "전 세계 학계가 주목할 수 있는 연구 분야
한편 이날 오후 서울대 본부와 시설노조 간 교섭이 최종 타결돼 엿새 동안 이어진 파업도 끝이 났다. 서울대 시설노조는 임금인상을 요구하며 지난 7일부터 파업에 돌입해 11일 낮까지 도서관 등 일부 학교 건물 난방을 중단한 바 있다.
[김희래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