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출처 = 국립해양조사원] |
국립해양조사원은 1989년부터 지난해까지 29년 동안 관측한 해수면 자료를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 연안의 장기 해수면 상승 속도는 점차 빨라지고 있으며 올해는 전년에 비해 소폭 감소했다고 27일 밝혔다.
국립해양조사원은 2009년부터 18개 조위관측소 자료를 바탕으로 매년 해수면 상승률을 발표하고 있다.
올해는 20년 이상 관측자료가 누적된 서해안 3개 조위관측소(인천, 보령, 위도)를 추가해 모두 21곳을 대상으로 29년간 해수면 상승률을 산정했다.
21개 관측소 자료 분석 결과, 전 연안 평균 상승률은 연평균 2.90㎜이다.
지역별 평균 해수면 상승률은 제주 연안이 연평균 4.44㎜ 상승해 가장 높았고 이어 동해안(3.70㎜/연간), 남해안(2.41㎜/연간), 서해안(2.07㎜/연간)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각 관측지점별로 보면 제주가 연간 5.76mm로 가장 빨랐으며 그 다음 울릉도(5.67mm/연간), 거문도(4.55mm/연간), 포항(4.47mm/연간), 가덕도(4.34mm/연간) 순이었다.
해양조사원이 해수면 상승률의 변동 폭을 파악하고자 18개 조위 관측소의 자료를 비교한 결과 29년간(1989~2017년) 평균 상승률은 2.89mm이며, 전년 발표한 28년간(1989~2016년)의 2.96mm
이는 대부분의 관측소에서 2017년 연평균 해수면이 2016년보다 약 5cm가량 낮아졌기 때문이라고 해양조사원은 설명했다.
해양조사원 관계자는 "해수면 변동 원인은 단기간 분석으로 알 수 없으며 장기 변동 추세를 보면서 연구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디지털뉴스국 정소영 인턴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