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가 추진해온 월평공원 민간특례사업이 난관에 부딪혔습니다.
월평공원 공론화위원회는 오늘(21일) 대전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민간특례사업을 추진하지 않을 것을 시에 권고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지난 8일과 15일 시민참여단 159명을 상대로 이뤄진 두 차례 조사에서 반대 의견이 60.4%로, 찬성 의견 37.7%보다 훨씬 높게 나타난 데 따른 것입니다.
반대하는 가장 큰 이유로는 '생태계, 숲 등 자연환경 보전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65.5%로 가장 많았습니다.
김영호 공론화위원장은 "이런 결과는 95% 신뢰수준에서 오차범위인 ±7.8%포인트를 넘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대전시민이 민간특례사업을 반대한다는 결과로 해석된다"고 말했습니다.
공론화위는 민간특례사업을 추진하지 않을 경우 보완사항으로 '공원의 사유지를 시가 장기 임대하거나 재산세 감면 혜택 등으로 공원을 유지할 것'과 '시 예산(지방채 포함)으로 공원 내 사유지를 매입해 공원을 조성할 것'을 권고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민간특례사업에 찬성하는 시민참여단은 '시 재정 부담이 큰 데 이는 시민 전체의 부담'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시민참여단 조사에서 향후 월평공원이 갖춰야 할 모습으로는 '자연생태와 편의시설이 같이 있는 도시공원으로 조성해야 한다'는 의견이 83.0%로 집계됐습니다.
공론화위는 향후 월평공원 조성 때 가장 중요하게 담아야 할 내용으로 '자연환경을 활용한 생태 숲 조성'을 권고했습니다.
월평공원은 대전의 대표 장기 미집행 도시공원으로, 2020년 7월 1일 자로 공원 지역 해제를 앞두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