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사무관 승진 대상자를 상대로 '소양고사'를 실시하는 것을 놓고 공무원 노조가 반발하고 있는 가운데 경기도는 "능력을 중심으로 합리적 인사를 하기 위한 것"이라며 맞서고 있습니다.
경기도는 오늘(17일) 오전 10시부터 경기도 인재개발원에서 5급 사무관 승진 대상자 273명에 대해 소양고사를 실시했습니다.
소양고사는 이재명 경기지사가 성남시장 재임 시절 당시 능력과 상관없이 일부 간부들의 보직이 시장과의 친소관계에 의해 거래되는 것을 알고 이를 막기 위해 도입한 것으로, 이 지사가 경기도지사로 취임하면서 이번에 처음 시행됐습니다.
소양고사는 경기도의 각 실·국에서 50개 과제를 선정하고 이 가운데 10개를 미리 공개한 뒤 시험에서는 5개를 제시하면 응시자가 2개를 골라 논술하는 방식으로 진행됐습니다.
한편 시험이 실시된 이날 오전 전국공무원노조 경기도청지부, 경기도청공무원노조, 경기도통합공무원노조 등 3개 노동조합은 경기도 인재개발원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경기도가 일방적으로 실시하는 '소양고사'를 중단하라고 촉구했습니다.
3개 노조는 소양고사에 대해 줄 세우기라고 비판하며 "그렇지 않아도 경기도 공무원들의 1인당 담당 주민 수가 전국에서 가장 높을 정도로 업무 과중에 시달리는데 과거시험처럼 시험 잘 보는 공무원을 뽑아 승진시키겠다는 것"이라며 "소양고사와 관련해 공무원 94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90.7%가 반대한 것으로 나타났고, 이런 의견을 이 지사에게 전달했음에도 묵살당했
이어 "다양성을 인정하지 않으면 불통이 된다"며 "이런 불통에 대해 도지사 도정 평가 등 투쟁을 확대하고 지속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경기도는 중간 간부인 사무관의 경우 도정에 대한 이해와 업무 수행 능력이 중요해 소양고사가 필요하고 이미 성남에서 그 효과가 검증됐다며 중단 의사가 없다는 입장입니다.
[MBN 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