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강력 허리케인 '플로렌스'의 미국 남동부 해안 상륙이 임박했습니다.
'플로렌스'는 현지시간으로 14일 오전 노스캐롤라이나 남부를 강타할 것으로 보입니다.
플로렌스는 미 동부시간으로 13일 오전 2시 현재 사우스캐롤라이나 머틀비치 동남동 쪽 451㎞ 해상을 지나고 있으며, 최대 풍속은 시속 110마일(177㎞)입니다.
'플로렌스'는 이 지역에 닿은 열대성 폭풍 가운데 수십 년 이래 가장 강력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다만 '플로렌스'는 한때 4등급 허리케인으로 세력을 강화했던 것과 달리, 12일 3등급으로 조정된 데 이어 13일 새벽 2등급으로 한 단계 더 내려갔다고 국립허리케인센터(NHC)는 밝혔습니다. 3등급 이상의 '메이저 허리케인'에서 '일반 허리케인'으로 약화됐다는 의미입니다.
2등급으로 약화되기는 했지만 노스·사우스캐롤라이나의 일부 지역에서 최대 40인치(1m)의 비를 뿌리고, 해안가에서는 13피트(4m) 높이의 폭풍해일을 몰고 올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에 따라 노스·사우스 캐롤라이나, 버지니아 3개주에 이어 추가로 메릴랜드, 조지아주와 워싱턴DC에 비상사태가 선포됐고, 약 170만 명에게 대피령이 내려졌습니다.
미국 기상청에 따르면 이번에 허리케인 또는 열대성 폭풍 경보와 주의보가 내려진 지역에 사는 인구는 1천만 명에 달합니다.
노스캐롤라이나에서는 100만 명에게 대피령이 떨어졌고, 이미 30만 명이 대피한 사우스캐롤라이나에서도 최대 100만 명이 집을 떠나 안전한 장소로 옮길 전망입니다.
대피령 대상에는 버지니아 해안 지역 주민 24만5천명도 포함됐습니다. 버지니아는 대표적인 한인 밀집 지역으로, 한인 인구가 약 8만명 정도로 추산됩니다.
플로렌스가 육지에 계속 머무를 경우 극심한 폭우와 홍수가 수일간 이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 플로렌스가 당초 예상보다 약간 더 남쪽으로 진로를 틀면서 영향권에 든 주들도 비상이 걸렸습니다. 조지아주는 159개 카운티 전체에 비상사태를 선포했습니다.
폭우가 애팔래치아 산맥으로 확대되면서 앨라배마, 테네시, 켄터키, 웨스트버지니아 일부 지역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허리케인 상륙이 임박하면서 남동부 주요 공항에서는 항공편 무더기 결항 사태도 빚어지고 있습니다.
항공편 정보 사이트인 '플라이트어웨어'에 따르면 12일 오후 8시50분 기준으로 남동부에서 항공편 수백 편이 취소된 것을 비롯해 이날부터 14일까지 전국적으로 1천245편이 취소됐습니다.
이번
블룸버그는 재난 전문가 척 왓슨을 인용해 플로렌스가 이미 10억 달러(약 1조 원) 규모의 경제적 손실을 끼쳤고, 최종 피해 규모는 100억~200억 달러(약 11조~22조 원)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