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100만을 넘어 광역시급이지만, 광역시가 되지 못하는 지자체가 여러 곳 있습니다.
이들 지자체는 지방 대도시의 성장을 위해서는 특례시로라도 지정해 달라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강진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 기자 】
인구 106만 명이 사는 경남 창원시.
지역 총생산은 대전과 광주광역시보다 훨씬 많지만, 기초 단체로 남아있습니다.
경기도 수원은 울산광역시보다 인구가 많지만, 역시 기초단체입니다.
광역시가 아니라는 이유로, 예산은 물론 공무원 수가 훨씬 적습니다.
취득세만 해도 도와 반씩을 나누고, 공무원 수도 제한되는 탓입니다.
▶ 인터뷰 : 허성무 / 경남 창원시장
- "100만 명이 됐다는 것은 사람으로 치면 성인이 됐다는 것인데 아직 10만 명 정도의 어린이가 입던 옷을 입으라는 것과 같거든요."
인구 100만 명 이상인 경기도 수원시와 용인, 고양시, 경남 창원시가 하나로 뭉쳤습니다.
광역시 승격이 어려우니, 특례시라도 만들어 달라며 공동 전선을 형성했습니다.
▶ 인터뷰 : 염태영 / 경기 수원시장
- "과감한 지방 이양을 할 마음가짐으로 실제적인 정부의 이행계획을 내줄 것을…."
상급기관인 경기도와 경남도의 반대는 넘어야 하는 산입니다.
▶ 인터뷰 : 조명자 / 경기 수원시의회 의장
- "시도의원들이 협의체를 구성해서 강력하게 대응하려고 합니다. 또, 5백만 시민들이 함께 서명 운동을 펼쳐서 강력한 의지를…."
4개 시는 앞으로 중앙정부와 국회 설득에 나설 계획입니다.
MBN뉴스 강진우입니다.
영상취재: 진은석 기자
영상편집: 이재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