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패혈증 쇼크 의심 증상을 보인 환자가 결국 숨지자 유족 측은 경찰에 고소장을 접수했으며, 경찰은 즉시 수사에 착수했다.
사건 관할서인 인천 논현경찰서는 8일 이번 사건과 관련해 인천시 남동구 모 의원 병원장을 9일 피고소인 신분으로 소환해 조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앞서 A씨와 B씨 등 60대 여성 2명은 지난 3일 해당 의원에서 마늘주사를 맞은 후 패혈증 쇼크 의심 증상을 보이자 인근 종합병원으로 옮겨져 치료를 받았다.
중환자실에서 치료를 받던 A씨는 입원 나흘 만인 7일 오후 5시 9분경 숨졌으며, A씨와 유사한 증상을 보인 B씨는 아직 중환자실에서 치료를 계속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A씨와 B씨의 남편 2명은 사건 발생 다음 날인 지난 4일 해당 병원장을 업무상과실치상 혐의로 경찰에 고소했다.
A씨의 유족들은 경찰에서 "당일 낮 12시경 수액주사 투약을 시작해 30분 만에 중단됐다"며 "2시간 넘게 별다른 조치 없이 환자를 방치하다가 뒤늦게 119구급대를 불러 종합병원으로 옮겼다"고 밝혔다.
경찰은 병원장을 불러 조사하는 것 외에 해당 의원 간호조무사 2명 또한 참고인 신분으로 소환해 사고의 자세한 경위를 파악할 계획이다.
경찰은 조사를 통해 수액주사를 투여하는 과정에서 감염된 의료도구 사용 여부와 환자들이 이상증세를 호소한 뒤에 병원 측에서 초동 조치를 적절히 시행했는지에 관한 내용도 파악할 방침이다.
이들의 혈액배양검사 결과 그람 음성균인 '세라티아 마르세센스'(Serratia marcescens)가 검출됐다. 이 병균은 세면대, 화장실 파이프, 샤워기, 시멘트 바닥 등 일상적인 환경에서 존재한다.
경찰은 이들이 세균성 패혈증이 의심된 것과 이 병균 간의 상관관계에 초점을 맞출 계획이다.
인천시와 질병관리본부 등 보건당국은 환자 모니터링과 역학조사를 통해 자세한 감염 경로와 원인을 파악중에 있다.
경
[디지털뉴스국 채민석 인턴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