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문화체육관광부 국민소통실은 4일 '노동시간 단축에 대한 인식 여론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국민들의 노동시간 단축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분석해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문체부 국민소통실 차원에서 진행했다.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 64.2%가 '노동시간 단축' 정책 도입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또 63.0%는 '노동시간 단축' 정책이 우리 사회에 앞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 답했다.
노동시간 단축이 우리 경제에 미칠 영향에 대해서는 53.0%가 긍정적으로 봤고 일자리 증가·감소에 대해서는 48.7%가 '일자리가 늘 것'으로 전망했다.
노동시간 단축에 따라 주어진 시간을 어떻게 활용하는지에 대해선 64.0%가 '가정생활'이라 답했고 '건강·휴식'(58.1%), '취미·여가·여행활동'(43.3%), '자기개발'(15.5%), '추가 경제활동'(8.4%), '육아'(6.6%) 등이 뒤를 이었다.
노동시간 단축 이후 변화에선 '취미생활·자기개발을 위한 시간이 늘어날 것'(70.4%), '가족과 보내는 시간이 늘어날 것'(70.2%), '불필요한 야근 관행이 줄어들 것'(67.7%), '업무 시간에 더 집중해서 일할 것'(63.6%) 등 기대가 컸다.
반면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면도 있었다. '급여가
문체부 관계자는 "조사 결과가 노동시간 단축 정책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올해 안에 두 차례 추가로 실시해 국민 여론을 지속적으로 파악하겠다"고 말했다.
[디지털뉴스국 문성주 인턴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