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여름 전국 평균기온, 1973년 통계 작성 이후 가장 높아
서울 39.6℃, 기상관측 111년 만에 가장 높은 온도 기록하기도
폭염일수 1994년 기록 넘어서, 일조시간 역대 최장시간 기록
Q. 1994년 ? 2018년 유독 더웠던 이유?
평년보다 눈에 띄게 발달한 티벳고기압?북태평양고기압 영향 때문
습한 공기 유입 ? 강한 일사효과로 무더위 극심해져
빨리 끝난 장마도 영향, 올해 평균 강수일수 가장 짧아
Q. 올해 폭염과 한파 동시 찾아올까
강원 내륙 산간지역, 올해 연교차 최대 70℃ 벌어질 것으로 전망
제트기류 약화로 여름엔 폭염, 겨울엔 중위도 지역의 한파 발생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 때문, 한반도 폭염과 혹한 심해질 듯
Q. 태풍 상륙 조건은?
한반도에 태풍 본격 상륙, 2012년 9월 산바 이후 6년 만
태풍, 강한 고기압의 가장자리 따라 이동하는 경향 강해
한반도, 8월 말부터 9월 사이 기압골 영향으로 태풍 피해 받아와
Q. 태풍특보 발령 기준은?
태풍경보, 강풍 경보 기준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될 때 발표
태풍경보, 총 강우량이 200mm 이상으로 예상될 때 발표
태풍경보, 폭풍해일 경보 기준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될 때 발표
태풍 강도, 최대 풍속 초속 33~44m 미만일 때‘강’으로 분류
태풍 크기, 중심으로부터 반경 500~800km일 때 대형으로 분류
Q. 태풍 예보 시 점검해야 할 사항은?
거주 지역의 태풍, 침수, 산사태 등 재해위험요소를 사전 확인해야
비상시 안전한 이동방법, 대피요령 등을 숙지해 줘야
재난이 발생할 경우를 대비해 비상용품을 사전에 준비해야
Q. 태풍 발생 시 행동요령은?
태풍특보 발효될 때, 저지대?상습침수지역 거주민들 대피 준비해야
침수가 예상되는 건물의 지하공간에는 주차를 하지 않아야
고층건물 옥상, 지하실, 하수도 맨홀 주변엔 접근 말아야
Q. 농촌?해안 지역, 태풍 대비는?
산사태 발생 징후 보일 경우 재빨리 안전한 곳으로 대피해야
경사면에서 갑자기 많은 물이 샘솟을 경우, 산사태 위험 높아
해안저지대 및 위험지구 경계강화 및 주민 대피 준비해야
조업 중인 어선 및 항해 중인 선박 신속하게 대피해야
Q. 태풍이 지나간 이후 점검 사항은?
주택?상하수도?축대 등이 파손됐을 경우 동사무소에 신고해야
침수된 음식과 재료, 식중독 위험이 있으므로 사용 말아야
태풍 피해로 가스 누출 위험, 충분한 환기 후 화기 사용해야
침수된 논?밭 작물은 깨끗이 세척 후 병해충 방지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