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공항공사는 전국 14개 공항(인천 제외)에서 근무하는 비정규직 4000여 명을 정규직으로 전환한다고 17일 밝혔다.
김포공항 등 전국 14개 공항을 운영하는 한국공항공사가 비정규직 근로자 4천100여 명을 정규직 전환하기로 했다. 소방과 폭발물 처리반(EOD) 약 300명은 공사가 직접 고용하고 나머지는 자회사를 통해 정규직으로 전환될 방침이다.
한국공항공사가 전국 14개 공항에서 일하는 비정규직 근로자 4천여 명을 정규직으로 전환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오늘(17일) 한국공항공사는 서울 강서구 본사에서 '노사 상생발전 선포식'을 열어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정규직 전환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공사는 지난해 9월부터 노조와 사용자, 전문가가 참여하는 노사전협의회를 구성해 정규직화 방식과 규모 등을 논의해왔습니다. 총 17차례 정례 회의와 27차례의 실무 협의 끝에 합의가 이뤄졌습니다.
이날 발표된 합의안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전국 14개 공항에서 일하는 비정규직 근로자 4천 146명은 2019년까지 단계적으로 정규직 전환됩니다.
소방과 폭발물 처리반 두 개 분야의 근로자 297명은 공사가 직접 고용하고, 공항운영과 시설 솬련 분야의 3천 949명은 공사의 자회사를 통해 정규직 전환됩니다. 이미 작년 말 위탁계약이 끝난 600여 명은 이미 자회사의 정규직으로 전환된 상태입니다.
다만 항공기 취급업, 주차 관제장비유지보수, 전산유지보수 직종 108명은 전환 대상에서 제외됐습니다.
공사는 또 근로자들의 처우개선을 위해 자회사 전환 고용자 중 고령자가 많은 미화·카트 분야의 경우 정년을 만 65세, 이 밖의 분야는 만 62세까지 연장하기로 했습니다.
게다가 직무급 중심의 새로운
김명운 한국공항공사 사장직무대행은 "정부의 공공부문 비정규직 제로 정책을 선도적으로 이행하면서 노·사 상생발전을 위해 노력하고 항공분야 신규 일자리 창출에도 힘쓰겠다"고 말했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