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지난 14일 우즈베키스탄 IUT에서 열린 졸업식에 대학 관계자와 졸업생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 = 인하대] |
인하대는 IUT 첫 졸업생 상당수가 우즈베키스탄 국내·외 IT 업체에 취업하는 등 높은 취업률을 기록했다고 16일 밝혔다.
인하대에 따르면 2014년 개교해 올해 첫 졸업생을 배출한 IUT는 졸업생 90%가 우즈텔레콤(Uztelecom), 피도 비즈니스(Fido Business), 내셔널 뱅크(National Bank) 등 IT기업·정부기관에 취업했다.
IUT는 우즈베키스탄 정부가 자국의 대학교육 시스템을 혁신하기 위해 인하대에 요청하면서 설립됐다. .
인하대가 운영하는 교육 콘텐츠와 학사관리시스템을 IUT에 그대로 적용하고, 교수 역량강화 교육, 학습법 워크숍 통을 통해 양질의 교육이 유지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IUT 재학생은 '3+1 조인트 프로그램' 에 따라 3학년까지는 IUT에서, 마지막 4학년 과정은 인하대 본교에서 수업을 들은 뒤 공동학위를 받는다.
지난 14일 IUT 첫 졸업식에서 전체 수석을 차지한 분요드벡 이브로히모브씨(23·정보통신공학과)는 "IUT에서 3년, 인하대에서 배운 1년의 교육은 잊지 못할 시간이었다"며 "졸업 뒤 인하대 대학원에 진학해 학업을 이어갈 계획"이라고 말
인하대는 올해부터 본교 전임교원을 IUT로 파견해 4년 전 과정을 IUT에서 보내는 '4+0 프로그램'을 운영한다는 계획이다. 교육부가 프랜차이즈 교육 방식을 허용했기 때문이다. 이렇게 되면 IUT·인하대 공동학위가 아닌 IUT 단독 학위 수여가 가능해 진다.
[지홍구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