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고령화의 영향으로 인구가 줄어 전국 시·군·구 10곳 가운데 4곳이 지역 자체가 소멸할 위험에 처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오늘 (13일) 한국고용정보원이 공개한 '한국의 지방소멸 2018'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6월 기준으로 전국 228개 시·군·구 중 '소멸위험 지역'은 89곳으로 39%를 차지합니다.
'소멸위험 지수'는 한 지역의 20∼39세 여성인구를 65세 이상 고령인구로 나눈 값으로 0.5 미만인 곳을 지수가 0.5 미만이면 소멸위험지역으로 분류됩니다.
가임여성 인구 수가 고령자 수의 절반이 안 되는 지역은 공동체가 붕괴해 사라질 수 있다는 뜻입니다. 소멸위험 지수는 국가통계포털의 주민등록 인구통계를 토대로 산출됐습니다.
이번에 소멸위험 지역으로 분류된 시·군·구는 2013년 7월 기준으로 75곳이었으나 5년 만에 14곳 늘었습니다.
올해 소멸위험 지역에 추가된 곳은 강원 철원(0.480)과 부산 중구(0.491), 경북 경주(0.496) 및 김천(0.496) 등지였습니다. 경남 사천(0.507)과 전북 완주(0.509)는 연내 소멸위험 지수가 0.5 아래로 떨어질 것으로 전망됐습니다.
이에 대해 고용정보원은 "지방소멸의 바람이 농·어촌 낙후 지역을 넘어 지방 대도시 권역 및 공공기관 이전이 진행되는 거점 지역까지 확산하고 있음을 의미한다"고 분석했습니다.
소멸위험 지수가 가장 낮은 곳은 경북 의성(0.151)이었습니다. 전남 고흥(0.161), 경북 군위(0.169), 경남 합천(0.171) 등이 뒤를 이었다. 이들 지역은 전국 평균(0.91)에 크게 못 미쳤습니다.
광역시·도별로는 전남(0.47)이 0.5에 미달했고 경북(0.55), 강원(0.58), 충남(0.67)
전국 3천463개 읍·면·동 가운데 소멸위험 지수가 0.5에 못 미치는 곳은 1천503곳(43.4%)으로 조사됐습니다. 이는 2013년의 1천229곳보다 274곳 늘어난 규모입니다.
[MBN 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