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미화원 안전사고를 줄이기 위해 야간이나 새벽시간에 일하는 환경미화원이 줄어들고 안전장비도 확충됩니다.
정부는 어제(8일) 이낙연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에서 '환경미화원 노동환경 개선방안'을 마련했습니다.
우선 환경미화원의 안전한 작업환경 조성을 위해 오전 6시 시작되는 주간근무를 현재 38%에서 내년 50%까지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주간근무 확대로 저녁시간대에 발생할 수 있는 민원에 대비해 야간기동반 등을 운영할 예정입니다.
청소차량별 필수인원 기준도 설정됩니다.
정부는 12월까지 일반쓰레기 수거차는 3인 1조,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는 2인 1조 등 차량 유형에 맞는 근무체계와 지역 여건에 맞는 작업속도와 작업량 모델을 마련할 계획입니다.
예산상 문제 등으로 부족했던 절단·찔림방지장갑과 청소차 후방카메라, 적재함 덮개 안전장치 등 안전장비도 갖춰나갈 예정입니다.
올 연말까지 폭염과 강추위 같은 기상 상황별 작업 중지 기준도 마련합니다.
정부는 지난해와 올해 환경미화원 사망사고가 잇따르자 이런 대책을 마련했습니다.
고용형태에 따른 차별도 줄여나갑니다. 현재 환경미화원 4만 3천여 명 가운데 56%가 위탁업체 소속인데, 이들과
아울러, 지금은 옷만 갈아입을 수 있는 수준인 휴게시설을 세면과 세탁 등도 가능한 휴게시설로 바꾸고 지자체 예산 확대도 유도할 계획입니다.
정부는 이같은 환경미화원 노동환경 개선 추진과제를 내년까지 단계적으로 이행해 나갈 예정입니다.
[MBN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