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해수욕장 안전 요원 및 동력 구조 장치, 감시탑/사진=한국소비자원 |
해수욕장 상당수가 안전 요원과 동력 구조 장비, 감시탑 등이 없어 안전 사고 발생 위험이 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 소비자원은 지난달 10일부터 30일까지 전국 해수욕장 20곳(지정 15곳·비지정 5곳)에서 진행한 안전 실태 조사 결과를 오늘(6일) 발표했습니다.
조사 결과 해수욕장 20곳 중 4곳에 안전요원과 동력 구조 장비가 없는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안전요원과 동력 구조 장비가 모두 없는 5곳은 모두 지자체의 손길이 닿지 않는 비지정 해수욕장이었습니다.
조사대상 20곳 중 8곳(지정 4곳·비지정 4곳)에는 감시탑이 설치돼 있지 않아 안전요원의 넓은 시야 확보가 어려웠습니다.
5곳(지정 1곳·비지정 4곳)에는 물놀이구역 부표가 설치돼 있지 않아 이용자가 깊은 수역으로 제한 없이 나갈 수 있어 안전사고 발생이 우려됐습니다.
![]() |
↑ 해수욕장 샤워실과 취약자 전용 화장실, 비상벨 /사진=한국소비자원 |
조사 결과, 이용자를 위한 편의시설도 부족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조사대상 20곳 중 5곳(지정 2곳·비지정 3곳)에는 탈의 시설이, 2곳(모두 비지정)에는 화장실과 샤워실이 모두 설치돼 있지 않아 이용자의 불편을 야기할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해수욕장은 지방자치단체 등이 지정해 관리하는 지정 해수욕장과 비지정 해수욕장으로 나뉩니다.
현재 전국의 지정해수욕장은 267곳으로 추산되며, 비지정 해수욕장은 2016년 기준 86곳으로 추정됩니다.
'해수욕장의 이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지정해수욕장은 안전요원 배치, 동력 구조 장비 구비, 감시탑
그러나 비지정 해수욕장에 대해선 별다른 안전 기준이 없는 상황입니다.
소비자원은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관련 부처에 해수욕장 안전관리 강화와 비지정 해수욕장 안전기준 마련, 해수욕장 편의시설 개선을 위한 가이드라인 마련 등을 요청할 계획이라 밝혔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