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가 통학버스 안에 갇히는 사고를 줄이기 위해 교육부가 버스 위치와 승·하차 여부 알림 서비스를 도입합니다.
교육부와 한국교통안전공단은 오늘(18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어린이 통학버스 위치 알림 서비스' 운영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었습니다.
교육부는 올해 예산 8억5천만원을 들여 유치원과 초·중학교, 특수학교에서 직영으로 운영하는 통학버스 약 500대에 단말기 설치비와 통신비 등을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학부모와 교사는 어린이 승·하차 여부를 문자로 전송받을 수 있고, 안내된 링크를 통해 통학버스 위치정보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번 서비스는 어린이가 통학버스에 갇히는 사고 등을 예방하기 위해 설계됐습니다.
일부 어린이집이나 학원이 이런 서비스를 하고 있지만 교육부가 유치원과 학교 통학버스에 서비스를 도입하는 것은 처음입니다.
교통안전공단은 통학버스 안에 설치하는 단말기를 통해 버스 운전자가 과속, 급정지 등 위험한 행동을 했는지 점검할 수 있습니다.
이 자료는 위험 행동을 많이 하게 되는 지점의 교통시설을 개선하고 운전자 교육을 할 때 기초자료로 활용합니다.
박춘란 교육부 차관은 "이번 협약을 통해 어린이가 통학버스에 갇히는 사고가 줄고 나아가 통학버스로 인한 교통사고도 감소하기를 기대한다"고 전했습니다.
[MBN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