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 10명 중 3명 이상은 노후준비 부족으로 경제활동을 하고 있고 이 중 대부분은 생계비 목적으로 일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보건복지부가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 의뢰해 2017년 4∼11월 전국 65세 이상 1만299명을 대상으로 벌인 노인실태조사 결과, 30.9%가 현재 일을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59.3%는 일을 한 경험은 있지만 현재는 일을 하지 않으며, 9.8%는 평생 일을 하지 않았다고 응답했다.
노인의 9.4%는 현재 일하고 있지 않지만, 향후 근로를 희망했다.
이번 조사에서 현재 일하는 노인들은 생계비 마련을 위해 경제활동을 하고 있다는 답변이 73%로 가장 많았다.
'용돈을 마련하려고 일한다'는 노인은 11.5%였으며, 이어 '건강유지'(6%), '시간보내기'(5.8%), '경력활용'(1.6%), '능력발휘'(1.3%), '친교목적'(0.7%), '기타'(0.2%) 등의 순이었다.
경제활동 참여 이유로 '생계비 마련'을 꼽은 비율은 2008년 85.9%에서 2011년 79.4%, 2014년 79.3%, 2017년 73% 등으로 낮아지고, '용돈 마련' 대답 비율은 2008년 3.7%에서 2011년 6.8%, 2014년 8.6%, 2017년 11.5% 등으로 해마다 증가세다.
한편 2017년 조사에서 일하는 노인들은 대부분 숙련도가 요구되지 않고 급여가 높지 않은 단순
단순노무직이 40.1%로 가장 많았고, 농어업은 32.9%로 그 뒤를 이었다. 다음으로 조립원(7.5%), 판매종사자(5.6%), 서비스근로자(5.2%), 기능원(3.8%) 등 순이었다. 전문직은 2.2%, 고위임직원관리자는 1.8%, 사무직원은 0.9% 등 소수에 그쳤다.
[디지털뉴스국]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