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국민 약 10명 중 8명은 한국 사회의 갈등이 심하다고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9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사회통합 실태 진단 및 대응방안(Ⅳ)-사회문제와 사회통합' 보고서를 보면, 우리나라의 전반적인 갈등수준에 대해 '매우 심하다' 8.5%, '대체로 심하다' 71.8% 등 심하다는 의견이 80.3%로 나왔습니다.
'별로 심하지 않다'는 17.5%였고, '전혀 심하지 않다'는 응답은 0.8%에 불과했습니다.
0점(전혀 심각하지 않다)에서 4점(매우 심하다)으로 측정한 갈등점수는 2.89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보사연이 2017년에 전국의 만 19세 이상∼75세 이하 남녀 3천839명을 상대로 사회갈등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입니다.
조사대상을 성별로 보면 남성 1천948명, 여성 1천891명이며, 연령별로는 20대 이하 729명, 30대 731명, 40대 832명, 50대 813명, 60대 이상 734명 등이었습니다.
조사결과, 갈등 유형 중에서 가장 심각하게 인식하는 것은 진보와 보수 간의 이념갈등으로, 응답자의 85.2%가 '매우 심하다'(40.8%) 또는 '대체로 심하다'(44.4)에 표를 던졌습니다.
이어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의 갈등(81.9%), 경영자와 노동자 간의 갈등(81.7%), 가난한 사람과 부유한 사람 간의 갈등(79.8%) 등 사회경제적 지위와 관련한 경제적 갈등들에 대해서도 80% 안팎의 응답자가 '심하다'고 평가했습니다.
하지만, 다문화 갈등(49.9%), 주택 소유자와 비소유자 간의 갈등(52.7%), 개발주의자와 환경보호주의자 간의 갈등(62.9%), 고령자와 젊은이 간의 세대갈등(58.1%), 지역 간의 갈등(57.8%) 등은 상대적으로 심각성이 덜 한 것으로 봤습니다.
이 가운데 고령자와 젊은이 간의 세대갈등은 2014년 56.2%에서 2016년 62.2%로 껑충 뛰었다가, 지난해에는 다시 줄어들었습니다.
특히 진보와 보수 간의 이념갈등은 2014년 80%에서 2016년 79.5%로 줄었다가 2017년 조사에서 85.2%로 큰폭으로 올라갔습니다.
이에 대해 보고서는 2016년말부터 불거진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로 촛불시위가 불붙고 박근혜 대통령이 탄핵되면서 조기 대선이 치러지는 등 이념 갈등이 크게 표출된 상황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풀이했습니다.
보고서는 "이념갈등은 어느 사회에서나 존재하는 것으로 건전한 정치발전의 계기로 작동할 수 있지만, 우리 사회는 일상의 소소한 갈등들이 불필요하게 이념갈등으로 증폭됨으로써 상당한 사회적 비용을 유발하기도 한다"면서 "하지만 2016년말 이후 정치적 혼란기를 지나오면서 앞으로 이런 문제는 진정될
그렇지만 "노사관계와 빈부격차와 같은 경제적 갈등문제는 해결하는데 많은 시간과 비용이 따르고, 세계적으로 불평등이 커지는 추세를 고려할 때 영원히 해결할 수 없을 지도 모른다"면서 "따라서 경제적 불평등에 대응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마련하고 제도적으로 갈등을 관리할 수 있는 체계를 보다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보고서는 지적했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