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 제공 = 연합뉴스] |
매장문화재 조사기관 수도문물 연구원(원장 오경택)은 발굴조사 중인 서울 종로구 통의동 70번지 유적에서 조선 후기에 제작한 것으로 보이는 내교인 1점과 비교적 크기가 작은 소내교인 1점을 찾았다고 16일 밝혔다.
출토된 내교인은 가로·세로 각 4cm에 높이가 5.5cm이다. 소내교인은 가로·세로 각 2cm, 높이 2.9cm다.
두 점은 정사각형 모양의 도장에 '내교'라는 글자가 전서체(篆書體·중국 진시황이 제정한 서체로 도장에 많이 사용)로 새겨있다. 그 위에는 앞다리를 펴고 뒷다리를 구부린 개 모양 손잡이가 달려있다.
수도문물연구원 관계자는 "손잡이 동물은 충견(忠犬)으로 짐작된다"며 "위로 솟은 꼬리와 목까지 늘어진 귀에 세밀한 선이 들어가 있다"고 말했다.
발굴조사가 진행된 통의동 70번지 유적은 조선시대 궁중의 어류와 육류, 소금 관련 일을 관장하던 사재감(司宰監)과 영조가 왕이 되기 전 거주했던 창의궁(彰義宮) 인근에 위치한 것으로 전해졌다.
조사단 관계자는 "왕비 도장이 궁궐 바깥에서 출토된 것은 매우 이례적이다"며 "대한제국 이후 혼란기를 겪으면서 분실되거나 도난당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내교인에 관한 기록은 조선왕조실록 영조 14년(1761)에 "자전(慈殿·임금의 어머니)에는 자교(慈敎)가 있고, 내전에는 내교라 일컬으며, 빈궁(嬪宮·세자빈)에는 내령(內令
국립고궁박물관은 이번에 나온 내교인 2점을 인계받아 보존처리와 분석을 시행한 뒤 성분과 주조기법을 연구할 계획이다.
[디지털뉴스국 문혜령 인턴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