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을 하고도 임금을 받지 못해 생활고를 겪는 근로자들이 많습니다.
되풀이되는 임금 체불 사태를 끊으려면 사업주에 대한 강력한 처벌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김현웅 기자입니다.
【 기자 】
대형 천막의 철골을 생산하는 업체에서 지난해 10월부터 일해온 차덕민 씨.
작업장에서 숙식을 해결하며 밤낮없이 일해왔지만, 최근 두 달치 임금을 받지 못해 속이 타들어갑니다.
▶ 인터뷰 : 차덕민 / 임금 체불 근로자
- "9백만 원 가까이 되는 돈을 못 받아서, 당장 돈을 써야 하고 필요한데 돈을 못 쓰니까…."
차 씨와 함께 근무한 하청업체 직원 30여 명도 모두 2억 원이 넘는 임금을 받지 못해 발을 동동 구르고 있습니다.
인건비 지급을 놓고 원청업체는 줬다고 주장한 반면 하청업체는 못 받았다고 반박하면서, 근로자들은 노동청에 진정을 넣고 기다리고 있습니다.
▶ 인터뷰 : 이황구 / 노무사
- "경미한 벌금에 처해지는 경우가 많고, 그래서 사업주에게 경고적 효과는 거의 없는 것이 사실입니다."
지난해 한 해 동안 노동부에 신고된 임금 체불액은 1조 3천여억 원, 피해 근로자는 32만 6천여 명에 이릅니다.
하청에 재하청을 거치는 제조업의 관행과 사업주에 대한 솜방망이 처벌 때문에 추운 겨울 근로자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습니다.
MBN뉴스 김현웅입니다.
[ Kimhw74@mbn.co.kr ]
영상취재 : 조영민 기자·양현철 기자
영상편집 : 김혜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