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전 대통령이 실소유주로 의심받고 있는 다스의 비자금 조성 의혹과 관련해 검찰이 추가로 조성된 비자금을 발견해 수사에 착수했다.
19일 '다스 횡령 의혹' 관련 고발 사건 수사팀(팀장 문찬석 차장검사)은 서울동부지검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비자금 의혹이 일었던 120억원과 별개로 다스 경영진이 조직적으로 추가 비자금을 조성한 정황을 포착했다"고 밝혔다. 이어 "비자금 조성 규모와 목적, 사용처 등 실체를 규명하기 위해 면밀히 조사해나갈 방침"이라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검찰은 2008년 정호영 BBK 특검팀의 '다스 실소유 의혹' 수사 과정에서 발견한 120억원에 대해 "경리직원의 개인 횡령"으로 결론내렸다. 경영진의 비자금 조성을 돕던 경리직원 조모 씨가 동일한 방법을 통해 개인적으로 돈을 빼돌렸다는 판단이다. 검찰은 이 과정에서 조씨가 120억원 중 일부를 반환하지 않고 은닉한 정황도 찾아냈다.
또 검찰은 다스 경주 본사 및 분사무소, 영포빌딩 등을 압수수색하는 과정에서 영포빌딩 관리인이 차량에 숨겨둔 외장하드 등 다스 실소유 입증과 관련된 증거를 확보했다. 다스 경영진이 납품 대가 명목으로 금품을 수수한 비리와 도곡동 땅 매각대금 150억원에 대한 사용처도 추가로 확인하고, 서울중앙지검 수사팀과 수사내용을 공유했다.
이와 관련해 수사팀 관계자는 "현재 조성된 비자금의 세탁된 자금 흐름을 분석 중이고 실소유주가 별도로 있다면 그 개입 여부는 수사 과정에서 자연히 규명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검찰은 과거 다스의 수상한 자금 흐름을 알고 수사하지 않은 혐의로 고발 당한 정호영 전 특검에 대해선 무혐의 처분했다. 검찰 관계자는 "조사를 진행한 결과, 특검이 당시 다스의 경리직원 개인 횡령 외에 회사 경영진이 개입된 조직적인 범행이라고 판단했거나 경영진의 추가 비자금 조성
'다스 횡령 의혹' 관련 고발 사건 수사팀의 부팀장인 노만석 부장검사를 비롯해 일부 검사들은 오는 22일부터 서울중앙지검 수사팀에 합류해 다스와 관련된 의혹 전반에 대한 수사를 계속 이어갈 계획이다.
[송광섭 기자 / 양연호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