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부터 지진 조기경보 전달시간이 지진 관측 직후 최대 7초까지 앞당겨진다. 또 관측 공백을 해소 위해 지진 관측소를 확충하고, 지금까지 시범 제공하던 지진 진도서비스도 본격 실시한다.
25일 기상청은 서울 동작구 청사에서 남재철 기상청장 주재로 '2018년 주요 업무 추진계획'을 발표하고 국민 중심의 기상·지진서비스 실현을 약속했다. 기상청이 이날 발표한 업무 추진계획에 따르면 올해 10월부터 지진 조기경보 전달시간은 길게는 25초, 짧게는 7초까지 빨라진다. 앞서 기상청은 2015년 50초 이내에 전달하던 조기경보를 지난해부터 15∼25초로 앞당긴 바 있다.
체감 진동을 알려주는 진도서비스도 제공한다. 지진계에 기록된 지진파의 진폭을 이용해 계산되는 절대적 수치인 지진 규모와는 달리 진도는 관측자의 위치에 따라 달라지는 상대적인 척도다. 아울러 지진관측소 54곳을 신설해 지진 관측 공백을 해소하고 해역지진 감시를 강화하기로 했다.
아울러 기상청은 최근 국지적 집중호우 경향을 반영해 호우특보의 기준을 재설정하고, 예보정확도 검증·평가지수를 매달 공개하기로 했다. 6월부터 호우주의보는 기존 '6시간 강우량 70㎜ 이상 혹은 12시간 강우량 110㎜ 이상 예상될 때'에서 '3시간 60㎜ 이상 혹은 12시간 100㎜ 이상 예상될 때'로, 호우경보는 '6시간 110㎜ 이상 혹은 12시간 180㎜ 이상 예상될 때'에서 '3시간 90㎜ 이상 혹은 12시간 150㎜ 이상 예상될 때'로 특보 기준이 개선된다. 특히 국지
2주 앞으로 다가온 평창 동계올림픽을 위한 맞춤형 기상정보도 제공할 예정이다. 기상청은 대회 기간 56명의 올림픽 기상지원 파견단을 구성해 경기장별 상세 기상서비스를 제공한다.
[양연호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