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가 향후 한중 정상회담이 열리면 양국 정상이 미세먼지 저감에 대해 협력하는 내용이 담긴 공동선언을 하도록 추진할 계획이다.
환경부는 24일 세종청사에서 김은경 장관 주재로 올해 주요 업무 계획을 발표했다. '국민과 함께 여는 지속가능한 미래'가 골자다.
환경부의 업무계획은 ▲국가 지속가능성 제고 ▲국민 체감 환경질 개선 ▲국민과 함께하는 환경정책 ▲환경산업 혁신성장 등 4대 분야의 16개 과제로 구성됐다.
이에 따르면 환경부는 중국발(發) 미세먼지의 실질적 저감을 위해 한·중 협력을 강화한다. 올해 안에 한·중 정상회담이 열리면 양국 정상이 미세먼지 분야에서 협력하겠다는 의지를 담은 공동선언을 하도록 추진할 계획이다. 또 500억원의 계약을 맺어 한·중 미세먼지 저감 실증사업의 대상 지역·산업·기술 등을 확대한다.
동북아청정대기파트너십을 출범시키는 방안도 업무계획에 포함됐다. 이를 기반으로 동북아 미세먼지 협약 체결을 추진한다.
국내에서는 먼지 배출총량제 확대, 배출기준 강화, 중·대형 사업장 굴뚝 자동측정기기 확대 부착 등에 나선다.
하반기에는 지하역사와 민감계층 이용시설의 미세먼지 기준 강화 방안을 만들고, 대중교통 차량 내 공기질
김은경 장관은 "중국과 함께 하는 미세먼지 저감 사업이 상당한 결과를 내고 있다"며 "당장은 효과가 없을 수 있지만, 미세먼지 관리 종합대책을 통해 2022년까지 미세먼지를 30% 줄여나가겠다"고 말했다.
[디지털뉴스국]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