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하수도 악취의 근원으로 꼽혀온 정화조 전면 폐쇄를 검토 중이다. 음식물 쓰레기를 봉투에 담아 버리지 않고 바로 하수도에 내려보내는 방안도 논의한다.
시는 1970∼1980년대 만들어져 낡은 데다 도심 악취를 발생시키는 하수도를 시대 변화에 맞는 차세대형으로 교체하기 위한 표준모델을 마련하겠다고 10일 밝혔다.
서울시 하수도는 총 1만615.7km 길이로 생활하수, 분뇨, 빗물이 하나의 관에 모여 물재생센터에서 처리되는 '합류식'이다. 하지만 분뇨의 경우 가정집마다 설치된 약 60만개의 정화조에서 1차 처리 후 하수도관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도심 악취를 발생시키고 있다.
시는 각 가정집에 정화조가 생긴 1970∼1980년대만 해도 하수도를 구축할 때 기술 수준이 미비해 정화조를 별도로 설치했지만, 기술 발전으로 정화조 설치가 필요하지 않다고 판단해 지난 1995년 하수관로 종합정비사업을 하면서 정화조를 폐쇄하려 했다. 하지만 악취 발생과 하수관 내 분뇨 퇴적 우려 등으로 폐쇄하지 못했다.
23년 만에 다시 정화조를 폐쇄하려고 하는 서울시는 "높아진 시민 생활 수준에 걸맞은 대대적 하수도정비와 진화가 필요한 시점"이라며 "차세대 하수도 표준모델 마련을 위한 시범사업부터 해보겠다"고 밝혔다.
시범사업은 광진구 군자동·능동, 성동구 송정동 일대에서 한다. 2019년 6월까지 '군자-2소블럭 하수도정비 기본계획'을 세우고 2020년 6월까지 설계를 마무리할 계획이다. 시범사업 지
시는 시범사업 결과를 토대로 2023년부터 연간 3000억원을 들여 시내 25개 자치구 전체로 정화조 폐쇄 등 새로운 하수도 체계를 확산시킬 계획이다.
[김제관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