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화폐에 대한 정부 규제안이 투자자들에게 '환영 아닌 환영'을 받았습니다.
당초 우려했던 가상화폐 거래의 전면 금지와 같은 조치가 아닌 시장 질서를 위한 규제가 포함됐기 때문입니다. 거래소 측은 "규제가 진작에 도입됐어야 했다"고 말했고, 일부 투자자는 "규제가 아니라 육성안이다"라고 말했습니다.
정부는 가상통화 투기과열과 가상통화를 이용한 범죄행위를 막기 위해 긴급대책을 13일 발표했습니다. 고교생 이하 미성년자와 비거주자(외국인) 등의 계좌개설과 거래금지 조치를 추진하는 한편 금융기관의 가상통화 보유·매입·담보취득·지분투자를 금지하는 안이 주요 내용입니다.
블록체인협회 준비위원회의 김진화 공동대표는 "부처간 대책을 잘 조율한 것 같다. 업계에서 우려할 만한 내용이 없었다"고 평가하면서 "앞으로 정부 기준에 부합해 거래소가 운영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습니다.
국내 1위 가상화폐 거래소인 빗썸은 이날 공식 입장문을 내고 "정부 발표안의 취지와 내용을 존중하며 정부 안에 대해 적극적으로 협조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다른 거래소도 필요한 규제가 도입됐다는 반응입니다.
코인원 관계자는 "소비자들이 그동안 불안했던 것은 관련 규제가 없었다는 것"이라며 "규제가 들어오면 제도권 내에서 보호받을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어 규제가 시장이 올바르게 크는 데 좋은 장치가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투자자들도 환영하는 분위기가 우세했습니다. 이날 오전 가상화폐 관련 인터넷 카페에는 "오후 2시께 규제안이 공개될 것"이라는 뉴스로 술렁였습니다. 중국처엄 거래를 원천 봉쇄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왔습니다. 하지만 이날 오전 정부의 보도자료 초안이 유출되면서 투자자들은 반색했습니다.
한 투자자는 "음성적인 것은 걷어내는, 규제 아닌 육성안이다"라며 "정부가 100%까진 아니더라도 맥을 잘 짚은 것 같다"라고 밝혔습니다.
또 다른 투자자는 "규제안이라고 해서 걱정했는데, 중국 쪽이 아니라 일본 쪽이었다"라며 "규제안 자체는 건전한 투자자들을 보호하고 불건전한 투자자들은 배제하겠다는 성격이 강해 보인다"라고 전했습니다. 일본은 자금결제법을 개정해 비트코인을 합법적인 결제수단으로 인정하고 일정 요건을 갖춘 자가 거래소를 운영하도록 하는 등 건전한 시장질서를 확립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반면 과세 검토에 대해서는 이견을 보였습니다.
한 투자자는 "(나라가)세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