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1인당 임금, OECD 중하위권…증가율도 평균보다 낮아
한국 월급쟁이의 평균 임금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중하위권이고 6년간 임금 증가율도 평균보다 떨어지는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1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박광온 의원이 OECD 회원국의 임금 현황을 분석한 결과 한국 근로소득자의 2016년 평균 임금은 2만9천125달러로 OECD 34개국(터키 제외)에서 23위였습니다.
임금 증가율도 낮았습니다.
2010∼2016년 OECD 34개국 평균 임금 증가율은 5.39%였으나 한국은 2010년 2만8천40달러에서 지난해 2만9천125달러로 3.87% 올랐습니다.
라트비아(27.90%), 아이슬란드(24.26%) 등 임금 증가율이 20%에 달하는 국가가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증가율 격차는 훨씬 두드러집니다.
지난해만 보면 한국의 국내총생산(GDP·1조4천112억 달러)은 OECD 8위, 1인당 GDP(2만7천539달러)로 22위였습니다.
국가 규모와 비교해 국민 개인과 임금 수준은 떨어지는 것입니다.
총생산 대비 임금 수준을 파악할 수 있는 1인당 GDP 대비 평균 임금은 한국이 105.76%로 GDP 규모가 비슷한 호주(114.38%), 캐나다(115.49%), 스페인(114.97%)에 비해 낮았습니다.
한국의 GDP가 다른 국가와 비슷하지만, 임금 소득 수준은 상대적으로 낮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는 대목입니다.
GDP 중 특정 대기업이 차지하는 생산과 소득 비중이 클 경우에도 1인당 GDP
박 의원은 "대기업은 성장하는데 가계소득이 하락하는 이유는 임금 격차"라며 "경제 성장의 열매가 골고루 분배될 수 있도록 대기업의 하청기업 임금 인상을 유도하는 등 고용 형태에 따른 임금 격차 해소에 집중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MBN 뉴스센터 / mbnreporter01@mb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