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50대 중년층이 다른 연령층보다 심리 불안 증상을 더 많이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광수 국민의당 의원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6년 공황장애 환자 13만1958명 중 40대(40∼49세)가 3만3540명으로 25.42%를 차지해 비중이 가장 컸다. 이어 50대(21.7%), 30대(18.4%) 순이다.
조울증 환자도 전체 8만6549명 중 1만6231명(18.75%)이 40대로 나타났다. 40대에 이어 30대와 50대의 비중이 각각 17.4%와 17.0%로 집계됐다.
불안장애 환자 비중은 50대가 가장 높았다. 지난해 전체 불안장애 환자 61만4166명 중 50대(50∼59세)는 12만7442명(20.75%)이다. 이어 60대(18.1%), 40대(16.7%) 순이다.
50대의 우울증 환자도 전체 우울증 환자 66만7374명 중 12만4639명(18.68%)으로 가장 많았다. 60대(18.3%)
김광수 의원은 "아이들 걱정에 스트레스를 참아가며 제 몸 돌보지 않고 일하던 중년층에 정신적 불안 증상이 많이 나타나고 있다"며 "이런 증상 심해지면 가정 파탄은 물론 사회 전반에 피해를 줄 수 있는 만큼 정신건강 질병에 대한 사전 예방과 치료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디지털뉴스국]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