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달 31일 국민의당이 울산 울주군 서생면 신고리 원전 5·6호기 공사 현장에서 가진 간담회에서는 원전 공사 일시 중단을 지시한 문재인 대통령과 공사 중단 결정 여부를 두고 오락가락하는 공론화위원회에 대한 비난이 쏟아졌다.
국민의당에서 탈원전 태스크포스 팀장을 맡은 손금주 의원과 당 관계자 10여명은 이날 울산에서 한국수력원자력 노동조합, 주민, 시공사, 협력업체 등 관계자들과 간담회를 열었다.
김병기 한수원 노조위원장은 "국가 에너지 정책만큼은 졸속으로 결정해서는 안되기 때문에 3개월간 탁상공론으로 결정을 낸다는 정부 정책을 받아들일 수 없다"며 "한수원 노조는 학계, 지역주민과 함께 공론화위 활동중지가처분 신청을 하고 대규모 집회도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시공사와 협력업체들은 정부의 탈원전 정책이 원전산업 붕괴로 이어질 수 있다고 주장했다. 한 시공사 관계자는 "한국 원전의 해외 수출 와중에 갑자기 불거진 탈원전 논의가 어치구니 없다"며 "현실적으로 무엇이 급하고 중요한지, 탈원전이 신고리 5·6호기 공사를 중단하고 공론화해야 할만큼 중대한 일인지 반문하고 싶다"고 말했다. 원전 공사에 처음 참여한다는 한 협력업체 관계자는 "공사를 위해 20~30년 경력의 기술자를 어렵게 채용해 공사를 했다. 공사 일시 중단으로 이 기술자들이 현장을 떠나게 되는데 다시 공사가 재개된다 해도 유출된 인력을 다시 데려와 일하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특히 공사를 위해 수십억원을 이미 투입한 업체들은 공론화위가 장기화될 경우 투자금 회수와 제대로 된 실비 보상에 차질을 빚을 것으로 우려했다. 또 다른 시공사 관계자는 "공론화 과정이 기약없이 길어지면 근로자와 협력업체의 불안감이 커지고 예기치 못한 문제까지 발생할 수 있다"며 "진행 중인 원전 공사가 중단된 경우는 한수원은 물론 시공사, 협력업체도 처음 겪는 일로 실비 보상을 제대로 받을 수 있을지 염려가 크다"고 토로했다.
이날 오후 울주군 서생면사무소에서 열린 주민간담회는 "신고리 원전 5·6호기를 중단하면 탈원전이 되나", "대통령 공약이 법 위에 있는 것 같다"는 발언이 쏟아지면서 정부의 탈원전 정책에 대한 성토장을 방불케했다 신장렬 울산 울주군수는 "정부가 에너지 정책을 공론화위에 맡겨 책임을 회피하고 있어 주민들이 분개하고 있다. 정부가 탈원전 정책을 추진한다면 안전한 신고리 5·6호기 아니라 노후 원전부터 중단하는 것이 논리적"이라고 주장했다. 이상대 서생면주민협의회장은 "신고리 원전 5·6호기는 주민들이 국가 정책에 동참하기 위해 주민들이 자율적으로 적법한 절차에 따라 유치했다. 이런 상황을 무시하고 공사를 중단하면 앞으로 정부가 정책을 추진할 때 누가 동참하겠나"고 지적했다.
이상돈 국민의당 의원은 "원전 공사 중단 여부를 90일간 공론화를 통해 결정하는
[울산 = 서대현 기자 / 서울 = 김효성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