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 가구 증가와 고령화라는 사회 변화 속에서 홀로 죽음을 맞는 사람들도 크게 늘고 있다.
23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지난해 무연고 사망자는 1232명이었다. 2011년 693명에서 2012년 741명, 2013년 922명, 2014년 1008명, 2015년 1245명으로 증가 추세를 보이면서 5년 동안 77.8%나 증가한 수치다.
지난해 무연고 사망자는 60대가 24.6%, 70대가 23.6%로 60대 이상이 절반 가까이 차지했고, 50대 이상도 24.1%였다.
급속하게 진행되는 1인 가구 증가와 고령화 현상을 방증하는 수치다.
무연고 사망자는 대부분 혼자 사는 중·장년층과 노년층, 노숙인 등이다.
하지만 '고독사'는 보통 저소득층 1인 가구가 가족이나 이웃과 교류 없이 지내다 홀로 숨진 뒤 뒤늦게 발견되는 경우로 언급하고 있지만, 아직 법적·정책적으로 확립된 개념이 아니다 보니 정확한 통계조차 없는 실정이다.
복지부 관계자는 "고위험군이라 할 수 있는 노인·장애인 1인 가구를 복지사가 방문해 안부를 확인하는 등 기존의 서비스와 연계해 지원이 이뤄지고 있다"며 "다만 가난하다는 이유로, 혼자 산다는 이유로 정부에서 일일이 개인의 안부를 확인한다는 것은 대상자 입장에서도 수용성이 굉장히 낮다"고 정책적 어려움을 토로했다.
반면에 박민성 사회복지연대 사무처장은 최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
[디지털뉴스국]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