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의원들의 '국외공무여행', 소위 해외연수가 또다시 도마 위에 올랐다.
충북에 사상 유례없는 물난리가 났는데도 이를 외면하고 도의원 4명이 외유성 유럽 연수에 나섰다가 호된 여론의 뭇매를 맞았다.
여야 모두 해당 도의원들을 엄중히 징계하겠다는 입장을 밝히며 몸을 낮췄지만, 수재민의 고통을 뒤로하고 외유에 나선 도의원들을 향한 성난 민심은 쉽게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선진지를 견학하고 좋은 시책을 본받아 의정활동의 수준을 높이자는 취지에서 도입됐지만, 지방의원들의 해외연수는 단순 시찰이나 견학, 관광에 그치는 경우가 많다. 말이 좋아 연수지 패키지여행 상품과 별반 다를 게 없다는 지적을 받기도 한다. 지방의회의 해외연수는 시와 때를 가리지 않고 이뤄진다. 가뭄에 시달리거나 폭우 피해로 아픔을 겪는 주민들을 뒤로하고 떠났다가 구설에 오르는 경우가 적지 않다. 1인당 수백만원씩 드는 해외연수를 다녀온 뒤 제출하는 연수보고서도 대부분 엉터리다. 베끼기 일색인 데다가 정책적인 내용보다 연수 소감 위주로 채워진다.
특히 기상 관측 이래 청주에서 2번째로 많은 양인 290.2㎜의 기습 폭우가 쏟아진 지 이틀 뒤인 지난 18일 프랑스·로마 등지로 해외연수를 떠난 충북도의회 행정문화위원회 의원 4명은 전국민 원성을
충북참여자치시민연대 관계자는 "지방의원들이 해외연수를 떠나기 이틀 전에 심사위원회가 열리는 경우도 있다"고 꼬집었다. 졸속 심사의 단면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그는 "지방의원들의 해외연수를 감시할 수 있도록 심사위원회 바로잡는 게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디지털뉴스국]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