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산관광 중단 10주기를 맞아 진보성향 시민단체들이 금강산관광 재개를 촉구하며 정부에게 북한과의 대화를 요구하고 나섰다. 북한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 등 연일 도발 수위를 높여가고 있는 상황에서 시민단체들의 '무조건 식' 남북 대화 요구가 '성급한 주장'이라는 비판 여론이 일고 있다.
11일 경실련통일협회와 참여연대 등 15개 시민단체는 서울 종로구 국정기획자문위원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금강산관광 재개를 촉구했다. 김삼수 경신련통일협회 사무국장은 "금강산관광 재개는 선택의 문제가 아니며 분단의 아픔을 넘어서 한반도 긴장 완화를 이루는데 반드시 필요한 일"이라며 "남과 북의 교류 협력을 통해 남북 관계를 복원해야 하며 5·24조치 해제, 금강산관광 재개, 개성공단 재가동 등 전향적인 대북정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경실련통일연대는 지난 6일 문재인 대통령이 G20정상회의에서 발표한 '베를린 평화 구상'을 내세우며 금강산관광 재개가 남북관계 복원의 단초가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같은 시민단체들의 요구는 문재인 대통령의 통일 구상을 다소 '아전인수 식'으로 해석한 것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정부가 개성공단과 금강산 관광 재개는 북핵 해결 이후에 논의할 수 있다고 선을 긋고 나선 데다 문재인 대통령 역시 "북핵 폐기 대화 국면에서 가능한 일"이라고 입장을 밝혀왔기 때문이다.
하지만 시민단체들은 금강산관광 재개를 비롯한 즉각적인 남북 대화 재개를 요구했다. 이날 발언자로 나선 이동식 YMCA전국연맹 협력사업 국장은 "통일부 장관 청문회에서 금강산관광과 개성공단 재가동을 북핵 문제와 연계하겠다는 발언은 안타까운 일"이라며 "정부가 조건을 걸게 아니라 더 이상 미루지 말고 금강산 관광 등 남북대화를 조속히 재개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의당 강원도당 역시 성명을 내고 "새 정부의 출범은 금강산관광 재개를 손꼽아 기다린 도민들에게 희망으로 다가왔다"며 "얼음 밑에서도 강물은 흐르는 것처럼 남북관계 개선에 대한 노력은 끊임없이 지속해야 한다"며 정부를 압박했다.
김태우 바른사회시민회의 공동대표(전 통일연구원장)은 "북한이 ICBM을 쏘고 한국 정부의 대화 제의에 대해서 순진한
[유준호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