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무기계약직 정규직화…"서울교통공사·서울시설공단 등 11곳 대상"
서울시가 서울교통공사 등 투자·출연기관의 무기계약직 2천400여 명을 연내 모두 정규직화하기로 했습니다.
서울시는 이 같은 내부 방침을 정하고 해당 기관과 함께 직제 변경, 예산 확보 등을 놓고 논의를 진행 중이라고 5일 밝혔습니다.
시에 따르면 이번 정규직화 대상은 서울교통공사, 서울시설공단, 서울의료원, 서울주택도시공사 등 투자·출연기관 20곳 가운데 11곳입니다.
시 관계자는 "지난해부터 무기계약직의 처우 개선을 고민해오다 아예 이 제도를 없애기로 가닥을 잡았다"며 "같은 일을 하는 이들을 정규직화해 같은 직렬로 끌어안는 것이 옳다고 봤다"고 취지를 전했습니다.
무기계약직이란 정규직처럼 회사는 계속 다닐 수 있지만, 근로조건은 비정규직에 가까운 직군입니다.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사이에 놓여 '중규직'이라고도 불립니다.
사실상 정규직과 같은 일을 하면서도 연봉 등에서 차이가 있어 그동안 이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았습니다.
특히 지난해 서울 지하철 2호선 구의역 사고 후속 대책으로 서울시가 스크린도어 유지·보수 인력을 '안전업무직'이라는 이름으로 직접 고용하면서 이 문제가 다시 불거졌습니다.
기존 민간위탁에서 서울교통공사 직접 고용으로 바뀌어 신분은 안정됐지만, 무기계약직인 탓에 온전한 '일반직'(정규직)에는 이르지 못해 '반쪽짜리 대책'이라는 비판이 나온 것입니다.
이에 따라 서울교통공사 안전업무직은 정규직화를 요구해왔습니다.
서울시가 결국 '무기계약직의 전원 정규직화'라는 카드를 꺼내게 되면서 이들 안전업무직은 바라던 바를 이루게 됐습니다.
시는 내년 상반기까지 투자·출연기관의 비정규직 기간제 근로자 1천여 명도 정규직으로 전환할 계획도 세워놓고 있습니다.
서울시는 2011년 박원순 현 서울시장 당선 이후 '비정규직의 정규직화'를 핵심 시정 목표로 내걸고 관련 정책을 추진해왔습니다.
2011년 당시 서울 지역 전체 노동자의 3분의 1에 해당하는 33.7%(131만명)가 비정규직이어서 이들이 고용 불안과 열악한 근로조건에 시달린다는
시는 2012년 3월 '서울시 공공부문 비정규직 고용개선 대책'을 발표한 이래 5년간 8천여 명을 정규직으로 전환하는 성과를 냈습니다.
이에 따라 청소, 시설·경비, 조경·녹지, 연구·전시, 상수도·시설, 문화 등 분야의 비정규직이 혜택을 봤습니다.
[MBN 뉴스센터 / mbnreporter01@mb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