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현대차 등 상위 7대 대기업 종사자 5명 중 1명은 비정규직인 것으로 드러났다.
새 정부 들어 민간부문 비정규직의 정규직화를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상위 7대 기업 근로자의 비정규직 비율이 꽤 높은 것으로 밝혀져 주목된다. 오는 8월 정부가 민간부문 정규직화 로드맵 발표가 예정된 가운데 이들 기업에 대한 '정규직화 압박'이 거세질 것으로 전망된다.
2일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고용형태공시제에 따르면, 올해 3월 말 기준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SK하이닉스 등 상위 7대 기업(국회예산정책처가 추정한 2015년 법인세 납부 상위 기업)에 종사하는 비정규직은 7만3344명으로 전체 종사자(27만6602명)의 21%를 차지했다. 10명 중 2명 꼴로 비정규직인 셈이다. 비정규직 중 직접고용 비정규직(기간제 근로자)은 6159명, 간접고용 비정규직(용역·파견업체)은 6만7185명를 기록해 간접고용 비율이 월등히 높았다. 용역·파견만 놓고 보면, 삼성전자가 2만7931명로 가장 많았으며, 현대자동차(9868명) 현대모비스(5729명), SK하이닉스(5715명) 등이 그 뒤를 이었다. 고용형태공시제란, 300인 이상 대기업이 자신의 사업장에서 일하는 근로자를 정규직과, 기간제 근로자 그리고 파견·용역 근로자로 나누어 매년 1회 공시하는 제도다.
300인 이상 대기업을 전반적으로 따져 봤을 때도 여전히 비정규직의 비율이 높았다.
대기업에 종사하는 사람은 총 475만5000명이었는데, 이 중 정규직은 292만5000명으로 61.5%에 불과했다. 기간제가 92만8000명으로 19.5%를 기록했고, 하청·용역 근로자가 90만2000명으로 18.9%를 차지했다. 다시 말해 정규직 6명이 있으면, 비정규직이 4명인 셈이다. 고용노동부 관계자는 "최근 3년간 고용형태별 비율은 큰 변화 없이 유지되고 있다"면서 "다만 지난해와 비교해 보면, 하청·용역 근로자는 0.7%포인트 감소했다"고 밝혔다.
가장 열악한 대우를 받는 것으로 알려진 하청·용역 근로자는 건설업, 운수업, 제조업 등에 몰려 있었다. 건설업은 근로자 2명 중 1명 꼴(47.7%)로 하청·용역 근로자였으며, 운수업(23.7%) 제조업(21.6%), 광업(21.4%)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앞서 정부는 지난달 일자리 100일 계획을 발표하면서 비정규직을 과다하게 고용하는 대기업에 대해 고용부담금, 사용사유제한 도입
[나현준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