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가 '소상공인 지원단'을 만들고 5년간 6000억원을 투입하는 등 소상공인 살리기에 적극 나선다.
31일 부산시는 어려움을 겪는 지역 소상공인 보호와 경영역량 강화를 위한 종합지원대책인 '부산 골목상권 스마일 프로젝트'를 발표했다.
이 프로젝트는 '소상공인이 웃어야 부산이 산다'는 슬로건으로 창업, 성장, 재기 등 소상공인의 생애주기별 맞춤형 지원대책과 지원체계를 담았다. 모두 4대 전략, 32개 세부과제로 이뤄져 있으며 이 가운데 23개 과제가 새로운 대책이다.
부산시는 효율적인 프로젝트 추진을 위해 전담부서인 '소상공인지원단'을 오는 7월 1일 신설한다. 앞으로 5년간 관련 예산 1000억원, 보증지원 5000억원 등 모두 6000억원 이상을 들여 지역 소상공인의 경쟁력과 자생력 강화에 나선다.
부산시는 소상공인의 창업 후 5년 생존율을 2015년 27.8%에서 2021년 35%까지 높이고 영업이익률을 2013년 21.2%에서 2021년 30%로 높일 계획이다.
소상공인의 업종 구조도 도·소매, 음식·숙박업 등 생계형 중심에서 IT, 콘텐츠, 금융, 정보서비스업 등 유망업종 중심으로 개선한다.
부산시는 먼저 예비 창업자를 대상으로 유망업종 중심의 창업을 유도하기 위해 ▲유망업종 창업희망아카데미 개설·운영 ▲창업희망멘토 운영 ▲해외 선진 창업 트렌드 도입·접목 ▲소자본 청년 해외창업 지원 등 7개 과제를 추진한다.
기존 소상공인들을 대상으로는 상품 및 서비스 경쟁력 제고를 위해 ▲연 1000억원 규모의 소상공인 특별자금 신설 ▲우수업체 인증 및 브랜드화 지원 ▲네이버와 상생 협력 강화 ▲마케팅·홍보 지원 등 13개 과제를 선정했다.
어려움을 겪는 한계 소상공인을 대상으로는 ▲재도전 힐링 프로그램 운영 ▲노란우산공제 가입 장려금 지원 ▲영세 소상공인 사회보험 가입 등 재기를 위한 6개 과제를 추진한다.
소상공인 지원 종합대책 지원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전담조직인 소상공인 지원단 설치 ▲전담 수행기관으로 부산신용보증재단 지정·운영 ▲온라인
서병수 부산시장은 "'골목상권 스마일 프로젝트'를 통해 서민경제를 이끌어 온 소상공인들이 자생력과 경쟁력을 높여 지역 경제 활성화에 앞장서겠다"며 "앞으로 업종별 추가 지원 대책을 지속적으로 발굴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부산 = 박동민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