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인근에 미국 항공모함 '로널드 레이건호·칼빈슨호' 2척 배치
![]() |
↑ 북한 미국 항공모함 칼빈슨호 / 사진=연합뉴스 |
'4월 한반도 위기설'이 나도는 가운데 미국 항공모함 칼빈슨호(CVN 70·배수량 10만t)가 한반도를 떠난 지 보름여 만에 재출동하는 것은 매우 이례적인 일이라는 것이 군 관계자들의 반응입니다.
칼빈스호는 한미연합훈련인 독수리훈련(FE) 일환으로 지난달 19일부터 25일까지 한반도 해상에서 실시된 해상훈련을 마치고 남중국해 인근으로 떠났습니다.
이후 싱가포르에 입항한 칼빈슨호는 호주로 갈 예정이었으나 한반도 쪽으로 항로를 급변경했습니다.
미 태평양사령부는 이런 조치가 '지시'에 따른 것이라고 밝혀 미국 정부가 전략적 판단에 따라 항모 경로를 갑작스럽게 바꾼 것으로 관측되고 있습니다.
군의 한 관계자는 10일 "미국 항공모함이 한 달도 되지 않아 재출동하는 것은 매우 이례적인 일"이라며 "그것도 태평양을 관할하는 7함대가 아닌 3함대 소속의 항모가 한반도 인근에 자주 출동하는 것도 드문 사례"라고 말했습니다.
칼빈슨 항모전단은 유도미사일 구축함 2척, 유도미사일 순양함 1척으로 구성됩니다.
칼빈슨호는 항공기 60대, 병력 5천 명을 수용할 수 있습니다.
태평양에서 임무를 수행하는 미국 항공모함으로는 칼빈슨호와 현재 수리 중인 조지워싱턴호(CVN 73)를 대신해 일본 요코스카에 배치된 로널드 레이건호(CVN 76), 지난해 독수리훈련에 참가한 존 C. 스테니스호(CVN 74)를 꼽을 수 있습니다.
미국에서 대기 중인 니미츠호(CVN 68)도 언제든 투입될 수 있는 항공모함입니다.
지난 2일 포항에서 실시된 쌍룡훈련을 마치고 한국을 떠난 강습상륙함(LHD) 본험리처드함(2만5천t급)도 F-35B 전투기 이착륙이 가능해 유사시 한반도에 출동할 수 있는 항모급 함정으로 꼽힙니다.
현재 로널드 레이건호와 칼빈슨호 등 2척이 한반도 인근에 배치되어 있는 것도 한반도 위기설을 확산하는 한 요인이 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연합사 측은 칼빈슨호 외 다른 항공모함이 당장 한반도에 전개될 계획은 없다고 설명했습니다.
군 관계자들은 이번에 재출동하는 칼빈슨호가 한반도 인근 해상에서 어떤 임무를 수행할지에 촉각을 세우고 있습니다.
해군 관계자는 "현시점에서 미국 항공모함과 계획된 연합 해상훈련은 없다"면서 "항모가 이동 중이기 때문에 (앞으로 훈련 여부는) 예단할 수는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습니다.
군 전문가들은 칼빈슨호의 재출동에 대해 미국이 북한과 중국에 대해 강력한 메시지를 전하려는 것만은 분명하다고 분석했습니다.
한 전문가는 "미국이 힘을 확실히 보여주겠다는 의도인 것 같다"면서 "우리나라에 대해서는 한미동맹의 중요성을 부각하고, 북한과 중국에 대해서는 군사적 억지력을 과시하려는 의
올해 들어 미국이 한반도에 공세적으로 전략무기를 투입하는 경향은 더욱 뚜렷해지고 있습니다.
핵과 미사일 개발에 광적으로 집착하는 북한 김정은 정권에 대해 유사시 언제든지 '펀치'를 날릴 수 있다는 준비가 되어 있음을 과시하려는 조치로 풀이됩니다.
[MBN 뉴스센터 / mbnreporter01@mb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