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시간선택제 일자리 확산 노력에도 지난해 공공기관 4곳 중 1곳은 시간선택제 직원을 단 한 명도 채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난해에는 시간선택제 직원을 채용하지 않은 공공기관 수가 전년보다 더 늘어난 것으로 나타나 유연 근무 정착을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3일 공공기관 경영정보 공개시스템(알리오)에 따르면 지난해 공공기관 342개 중 채용형 시간선택제 직원(비정규직 제외)이 '0명'인 곳은 257개(75%) 기관에 달했다.
시간선택제는 육아·간병 등을 이유로 시간을 단축해 근무하는 제도다. 시간선택제는 취업할 때부터 시간선택제로 근무하는 '채용형'과 전일제 근로에서 시간선택제로 바꾸는 '전환형'으로 구분된다.
2013년 채용형 시간선택제 직원이 0명인 기관은 308개에 달했지만 그해 말 정부가 시간선택제 일자리 활성화 대책을 발표하면서 이듬해 252개, 2015년에는 245개 기관으로 줄어들었다.
하지만 1년 만에 채용형 시간선택제 직원을 단 한 명도 채용하지 않은 기관은 다시 12개나 늘어나면서 제도 도입 초기인 2014년 수준보다 더 뒷걸음질 치고 말았다.
비정규직을 포함하면 전체 채용형 시간선택제 직원 수는 매년 감소 추세다.
비정규직을 포함한 채용형 시간선택제 직원 수는 2014년 6천417명, 2015년 5천525
시간선택제 활성화 대책 이후 비정규직보다 정규직·무기계약직을 시간선택제로 채용하면 경영 평가에 더 높은 점수를 주기로 하면서 공공기관들이 정규직 채용을 늘리는 대신 비정규직을 더 많이 줄이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디지털뉴스국]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