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드갈등' 한국 기업 공백에…"중국 기업 반사이익 노린다"
![]() |
↑ 사진=연합뉴스 |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THAAD·사드) 보복 갈등으로 한국과 중국간 무역·경협이 주춤해지는 시기를 중국 경제가 노리고 있는 모양새입니다.
19일 중국 현지 매체는 사드 배치에 따라 중국 당국의 보복·제재 조치와 함께 한국제품 불매와 반한 정서가 지속적으로 심화하면서 한중 무역관계와 기업 간 협력에도 큰 영향을 주게 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그러면서 "한중간 정치적 모순과 대치가 중국의 산업 고도화와 중국기업 브랜드 발전에 복이 될 수도 있지 않을까"라고 내다봤습니다.
해당 매체는 한중 무역이 동결되더라도 그 총체적 손실은 중국 입장에서는 크지 않고 오히려 순수출액 증가에 유리한 측면이 있는 반면, 한국은 심각한 대중 경제의존도로 인해 측정키 어려운 손실을 볼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중국이 한중 무역에서 기록하고 있는 무역수지 적자는 중국의 전체 무역흑자의 6%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만큼 한중교역이 저해된다면 총량적으로 중국의 순수출이 늘어나는 결과를 초래한다는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한국이 대기업 위주로 대중 수출의존도가 높았던 전자, 화학공업, 자동차 등의 업종이 중국에 기회를 창출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한중 무역의 냉각으로 중국기업과 브랜드가 시장점유율을 확대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매체는 삼성을 예로 들어 스마트폰, 가전 등 첨단 소비제품과 액정패널, 메모리, 전지, 웨이퍼 등 전자부품 분야를 중국 업체가 파고들 기회가 있을 것으로 봤습니다.
이 중에서도 올레드(OLED·유기발광다이오드) 디스플레이 분야에서 한국 업체들이 독점적 지위를 누리고 있는데 이 업종이 사드갈등으로 영향을 받을 경우 중국 내 올레드 산업 재정비의 호기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이와 함께 중국 젊은층에 영향이 큰 한국 드라마, 예능프로그램, 패션, 성형 등 한류 문화 상품의 중국 내 수요가 꺾이면서 이 분야 중국의 경쟁력이 제고될 기회도 함께 맞게 됐습니다.
하지만 앞으로 사드갈등이 확대되면 제조업, 금융보험
아울러 중국의 대(對) 한국 수출 규모가 비교적 큰 의류 섬유, 가구·침구 분야에서는 한중교역 냉각 시 중국의 피해가 커질 수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MBN 뉴스센터 / mbnreporter01@mb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