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취업자수 11개월만 최저수준…실업자 '100만명' 최고치로 치솟아
![]() |
↑ 사진=연합뉴스 |
조선·해운 등 구조조정 여파로 제조업 취업자 수가 7개월 연속 감소했습니다.
지난달 취업자 수 증가 폭은 지난해 2월 이후 11개월 만에 다시 25만명 밑으로 떨어졌고 전체 실업률은 9개월 만에 최고치로 치솟았습니다.
통계청이 15일 발표한 '1월 고용동향'을 보면 1월 취업자는 2천568만9천명으로 1년 전보다 24만3천명 늘었습니다.
이는 22만3천명이 증가하는 데 그쳤던 지난해 2월 이후 최저 수준이고 정부가 올해 전망한 29만명에도 한참 미치지 못하는 수준입니다.
취업자 수 증가 폭은 지난해 11월 33만9천명을 기록해 3개월만에 30만명대로 올라섰지만 지난해 12월 28만9천명으로 줄었고 지난달 25만명 밑으로 떨어지며 2개월째 20만명대에 머물고 있습니다.
조선·해운 등 구조조정 여파로 제조업 취업자가 16만명 감소한 영향이 컸습니다.
제조업 취업자 감소 폭은 2009년 7월 17만3천명 이후 7년6개월 만에 최대입니다.
산업별로는 건설업(8만5천명), 숙박 및 음식점업(7만4천명) 등에서 취업자가 증가했지만 제조업을 비롯해 운수업(-3만7천명), 농림어업(-9천명) 등에서 감소했습니다.
1월 고용률은 58.9%로 1년 전보다 0.1%포인트 상승했습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비교 기준인 15∼64세 고용률은 0.3%포인트 상승한 65.5%였습니다.
청년층(15∼29세) 고용률은 41.8%로 0.1%포인트 올랐습니다.
1월 전체 실업률은 0.1%포인트 상승한 3.8%로 지난해 4월 3.9% 이후 9개월 만에 가장 높았습니다.
1월 실업자 수는 100만9천명으로 7개월 만에 다시 100만명을 넘어섰다. 이는 1월 기준으로 2010년 1월 이후 최대입니다.
청년층 실업률은 8.6%로 1년 전보다 0.9%포인트 하락했습니다.
아르바이트를 하면서 다른 직장을 구하는 취업 준비자와 입사시험 준비자 등 사실상 실업자를 고려한 체감실업률(고용보조지표 3)은 11.6%였습니다.
지역별로 보면 인천의 실업률이 1년 전보다 0.9%
빈현준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은 "취업 수요가 위축돼 작년 하반기부터 이어지던 제조업 취업자 감소세, 청년층 취업 둔화 등이 계속되고 있다"며 "제조업 취업자 수는 구조조정 영향으로 한 번 감소하기 시작하면 전년 동월비로 1년 내내 줄어들게 된다"고 설명했습니다.
[MBN 뉴스센터 / mbnreporter01@mb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