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진룡 전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박근혜 대통령으로부터 '반대하는 사람들을 안고 가겠다'는 말을 들었지만 김기춘 전 청와대 비서실장이 부임한 후부터 지켜지지 않았다고 증언했다.
유 전 장관은 25일 헌법재판소 탄핵심판 9차 변론기일에 증인으로 출석해 "2013년 2월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이 뜻밖의 전화를 해 장관직을 제의했다. 당시 박 대통령이 '선거 과정에서 문화예술계 사람들이 저를 지지하지 않은 것을 알고 있지만 안고 가는 게 제 역할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고 진술했다.
유 전 장관은 보람 있는 일이라 생각해 장관직을 수락했지만 2013년 8월 김 전 비서실장의 취임 후부터 박 대통령의 '안고 가겠다' 약속이 깨지고 전횡이 시작됐다고 증언했다.
그는 "김 실장, 모철민 전 청와대 교육문화수석비서관으로부터 정부 비판세력 응징과 불이익 요구가 끊임없이 왔다"고 진술했다.
유 전 장관은 "교문수석실과 문체부와 계속 갈등이 생겨 2014년 1월 29일 박 대통령 면담을 요청해 뵌 자리에서 '반대하는 쪽을 안고 가야 한다'고 다시 말씀드렸다. 그랬더니 박 대통령은 '원래대로 하세요'라고 답했다"고 밝혔다.
그는 "세월호 참사가 있기 전까진 문체부 소신대로 일을 진행했지만 참사 이후 청와대에서 소위 '블랙리스트'를 내려보내는 등 다시 전횡이 시작됐다"고 설명했다.
유 전 장관은 또 세월호 참사 직후 대통령에게 정부 조직 개편에 대한 국무위원의 의견을 비롯한 비판적인 의견도 들어야 한다고 건의했으나 "그럼 대한민국 사람 모두의 의견을 내가 들어야 하느
장관직을 그만두기 전인 2014년 7월에 박 대통령을 마지막으로 면담한 자리에서 유 전 장관은 '블랙리스트'와 같은 차별과 배제를 멈춰야 한다고 거듭 건의했으나 박 대통령은 '묵묵부답'이었다고 회고했다.
[디지털뉴스국 배동미 인턴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