택배기사 4명 중 3명은 혹한기 때 야외에서 난로 하나 없이 물품 분류작업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2명 중 1명은 본인 잘못이 없는데도 고객들로부터 욕설을 들은 경험이 있었다.
전국택배연대노동조합과 참여연대 등은 24일 오전 11시30분 서울 종로구 참여연대 2층 아름드리홀에서 택배기사들의 근무환경과 노동실태를 고발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택배노조는 이 자리에서 지난 18일부터 23일까지 CJ대한통운, 로젠, KG, 한진, 롯데 등 택배회사 소속 택배노동자 376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택배노동자 현장, 인권, 노동실태 설문 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조사 결과 4분의 3인 75.5%(284명)는 혹한기나 혹서기에 난로나 선풍기 하나 없이 야외에서 일을 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박대희 택배노조 사무처장은 "택배노동자들은 영하 15도 가까운 혹한에도 야외에서 목장갑만 끼고 하루 5시간 이상 일하고 있다"며 "그러면서도 문제가 생기면 기사들이 모든 책임을 떠안게 된다"고 말했다.
각종 민원으로 감정노동의 고통을 호소하는 기사들도 적지 않았다.
설문 응답자 중 58%(218명)가 택배노동자 본인의 잘못과 무관하게 욕설을 들은 적이 있었고 22%(83명)는 컴퓨터나 세탁기 등의 설치를 요구받은 적이 있다고 답했다. 택배노조 측은 "욕설은 물론이고 '그렇게 사니까 택배 찌끄레기인 거다'라는 등의 인격 모독성 발언을 듣는 경우도 있다"고 주장했다. 택배발송자의 실수로 애초 배송지가 잘못 적혀 있어 고객이 원하는 장소로 물품을 받지 못한 책임도 기사들이 지고 있었다. 응답자의 80.3%는 적힌 주소로 물품배송을 하자 고객에게 "원래 내가 의도한 곳으로 다시 배송해달라"는 부당한 요구를 받았다.
택배기사는 회사가 고용한 직원이 아니라 개인사업자라는 이유로 기본 권리인 경조사로 인한 휴무나 휴가 혜택도 잘 받지 못했다. 응답자의 35%(132명)가 병가나 휴가를 써본 적이 없다고 답했다.
택배노조는 "사실상 회사에 고용된 노동자이지만 개인사업자로 분류돼 정당한 휴일을 보장 받지 못하고 아픈 것을 참으며 근무하고 있다"고 호소했다. 택배회사 정직원에게는 무상 지급되는 벌당 1~2만원 상당의 유니폼도 기사들은 자비로 구입해야 했다.
그러나 기사들의 열악한 환경과 대조적으로 택배회사의 이익은 매년 늘어나는 추세다. 한국통합물류협회에 의하면 지난해 택배산업에서 발생한 매출액은 2조2577억원으로 전년 대비 9.83% 증가했다.
그럼에도 택배 평균단가는 지난해 기준 2392원 수준으로 낮아져 최저치를 기록했다. 택배회사들의 수익은 늘고 있지만 택배기사들에게 돌아가는 몫은 축소되고
안진걸 참여연대 사무처장은 "택배회사들은 기사들을 직접 고용하거나 원청업체로서의 역할을 다해야 한다"며 "고용노동부의 경우에도 제대로 된 근로감독을 통해 개선을 추진하고 위법한 사업자가 있을 경우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디지털뉴스국 김수연 인턴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