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찌보면, 미국 내에서의 일도 아니고 싱가포르 현지에서의 10대 소년이 한 일인데, 미국 대통령이 나섰던 거지요. 그리고 결국 태형 여섯 대는 넉 대로 줄어들게 됩니다.
경기도 동두천 미군 클럽 여종업원 윤금이 씨 살인사건도 전례를 찾기 힘든 잔혹한 사건이었지요.
그런데도 미국 측은 마클 이병의 대법원 확정 판결이 날 때까지 1년 반이 넘도록 신병을 인도하지 않았을 뿐 아니라, 항소심 공판 때 소란이 있었다며 항의 공문을 보내고, 우리 측에 재발방지 대책을 요구해왔습니다. 아주 당당히 말이지요.
그런데, 우리 국민은 우리나라 외교부에서 이런 대접을 받습니다.
'자는데 왜 이 시간에 전화를 하느냐… 신고는 알아서 해라.'
지난 12일, 대만을 여행 중이던 우리 여대생들이 현지 택시기사에게 성폭행을 당하고, 우리 영사관에 도움을 청하며 전화를 걸었더니 돌아온 답변이었죠.
결국, 학생들은 우리 영사관이 아닌 현지 교민이 운영하는 인터넷 카페를 통해 도움을 받아야했습니다.
이럴거면 대체 영사관이 왜 있는 걸까요.
우리 국민을 보호하고, 자존심을 지켜줘야 할 외교부가 되려 우리 국민 가슴에 대못을 박는 경우도 있습니다.
위안부 소녀상 철거 문제를 놓고 우리 외교부 수장은 한일 관계 악화를 막는 데만 급급하고,
윤병세 / 외교부 장관 (지난 13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외교 공관, 영사 공관 앞에 어떤 시설물 또는 조형물을 설치하는 것에 대해서 바람직 않다고 생각하는 것이 일반적인 입장입니다."
사드 문제로 우리 기업들이 중국에서 속수무책으로 당하는 동안 외교부에서 들리는 소식이라고는 칠레 외교관의 미성년자 성추행 사건, 중동 지역 대사의 성희롱 사건, 여성의 신체를 휴대전화로 몰래 촬영한 외교부 서기관 이야기들입니다.
위안부 합의 1년 째였던 지난달 28일,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엔 1천 달러가 들어왔습니다. 위안부 문제를 다룬 영화 '귀향'을 본 미국 교포가 한일 합의를 반대하며 보내온 것이었죠. 이미 국내에서는 일본이 준 보상금 10억 엔을 되돌려주기 위한 모금이 시작됐습니다.
이건 정부가 잘못한 합의를 국민이 제대로 돌려놓겠다며 나선 거라고 봐도 되겠지요.
지난해 중국 어선이 불법조업을 단속하는 한국 해경 고속단정을 침몰시키자 중국 정부는 적반하장으로 우리에게 항의를 해왔습니다.
물론 말도 안 되는 주장이지만, 중국 어부들은 적어도 '자국에서 보호를 받는구나', '안심은 되겠구나' 부러운 생각마저 드니 이를 어쩌죠.
이런 억지까지는 바라지도 않습니다.
우리 국민이 당연히 가진 권리라도 당당히 주장할 수 있는, 우리 정부·우리 외교부를 바랄 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