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로 인한 가금류 살처분 규모가 역대 최대 규모로 치달으면서 인력 확보에도 난항을 겪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군 당국은 '사병 부모들의 정서'를 이유로 병력 지원에 소극적이어서 논란이 일고 있다.
29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지난달 16일 전남 해남의 산란계(알 낳는 닭) 농가에서 최초 의심 신고가 접수된 이후 동원된 방역 인력은 7만1000여 명에 이른다. 이중 국방부가 밝힌 군병력 투입인원은 농식품부가 집계한 전체 동원 인력의 4%에도 못미치는 2683명(11월 29일~12월 26일 기준)이다. 그마저도 이 기간 이동통제초소나 발생 농장이 살처분 작업이 끝난 뒤 잔존물 처리 작업에 투입되는 것이 대부분이다.
과거 2008년 당시 AI가 발생했을 때는 살처분 작업에 장병들이 직접 투입됐었지만 당시 군 복무 중인 자녀를 둔 부모들의 반발이 심해 병사들은 살처분 현장에 직접 투입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농식품부는 과거 살처분에 참여한 사병이 AI에 감염된 사례는 단 한 명도 없었다고 밝혔다.
한 지자체 관계자는 "군병력의 경우 자체적으로 살처분 현장에는 투입 되지 않도록 내부 지침이 있는 것으로 안다"며 "군 복무 중인 자녀를 둔 부모들의 입장을 생각하면 어느 정도 이해는 가지만 인력난이 심한 것은 사실"이라고 아쉬움을 보였다.
인력난으로 살처분이 지연되면 AI가 확산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자 국방부는 지난 28일 AI 발생 42일 만에 처음으로 자원을 받아 선발한 간부 100명을 전북 김제 지역 살처분 현장에 투입했다.
국방부 관계자는 "병사를 투입하지 않는다는 방침이 문서상 명시된 것은 없고, 2008년 AI 사태 당시 사병 가족들의 민원이 많아 이후 내부적으로 병사를 투입하지 않기로 공
이어 "부모들의 정서를 고려한 결정이고 상황이 더 심각해진다고 판단되면 그때는 병사 투입도 검토할 수 있다는 입장"이라고 밝혔다.
[디지털뉴스국 박상원 인턴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