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부모 10명 가운데 6명 이상은 촛불집회 같은 현장에 다녀오는 것이 자녀의 역사 공부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영어교육 전문기업 윤선생에 따르면 이달 8∼13일 자녀를 둔 학부모 569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촛불집회 같은 현장에 자녀와 동행하는 것이 역사 교육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지에 대해 62.5%가 ‘그렇다’고 답했다. ‘아니다’라고 밝힌 응답자는 14.6%에 그쳤다.
‘그렇다’고 응답한 학부모 가운데 38.0%는 실제로 촛불집회에 자녀를 데려가 본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응답자의 95.4%는 자녀의 역사 공부가 중요하다(중요하다 50.6% + 매우 중요하다 44.8%)고 답했다. ‘보통이다’가 4.6%였고, 중요하지 않다고 답한 학부모는 1명도 없었다.
조사 대상 학부모의 57.6%는 현재 자녀에게 역사 교육을 하고 있다고 답했는데 자녀에게 역사 공부를 시키기 시작한 나이는 평균 9.3세였다.
올바른 역사 교육을 위해 공교육에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점(복수응답)으로는 ‘편향되지 않은 역사 교과서’(58.9%)를 꼽은 응답자가 가장 많았다. ‘박물관 견학·유적지 답사 등의 다양한 체험 행사’(54.1%), ‘전문 지식을 가진 선생님’(44.6%)
한국사를 대학 수학능력시험 필수 과목으로 지정하는 안에 대해서는 83.7%가 긍정적이라고 답했는데 그 이유(복수응답)로는 ‘올바른 역사관을 가질 것 같아서’(77.3%)라는 응답이 압도적이었다.
[디지털뉴스국]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