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용개 판매 논란의 중심에 섰던 경기도 성남시 모란시장에서 살아있는 개를 전시·도살하는 모습이 사라지게 됐다.
13일 성남시와 모란가축시장 상인회는 ‘모란시장 환경정비 업무협약’을 맺고 모란가축시장에서 판매 목적의 개 보관, 전시, 도살을 중단하기로 했다. 상인들은 개 보관 전시 도살 시설을 폐쇄하고, 시는 업종전환 전업이전 환경정비 등 행정적 지원을 아끼지 않기로 했다.
성남시는 “내년 2월 말까지 업종전환을 추진하고 늦어도 5월 초까지는 시설환경정비사업을 모두 마무리할 계획”이라고 밝혔지만, 업종전환에 실패하면 도축된 개고기 판매를 완전히 막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모란시장내 개고기 취급 업소는 모두 22곳으로 하루 평균 220여마리, 한해 8만여마리 식육견을 거래하는 전국 최대 시장이다.
1960년대 모란시장 형성과 함께 하나 둘 들어서 2001년 54곳이 영업했으나 2002년 한일월드컵을 계기로 소비가 주춤해지면서 절반으로 줄어들었다. 그러나 개 등을 산채로 진열 판매하면서 소음 악취 등에 대한 민원이 끊임없이 제기됐다.
최근 동물보호법 개정 여론과 맞물리면서 개식용을 반대하는 동물보호단체와 식용견 관련 사업 종사자들이 충돌한 곳이기도 하다. 지난 10월 모란시장 앞에서 동물보호단체들은 ‘개 식용 반대’ ‘반려동물 식용 근절’ 불법 도축 금지‘ ’동물 학대 이제 그만’을 외치며 개 시장 폐쇄를 요구했고, 식용견 종사자들은 “영업 방해 말라” “개고기 합법화하라” 등의 구호를 외치며 맞불 시위를 벌였다.
이재명 성남시장은 “혐오시설로 낙인 찍혔던 모란가축시장은 앞으로 현대화된
[지홍구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