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은 밤에 진행하는 반포대교 분수공연 모습 |
서울은 1392년 7월 17일 태조 이성계가 조선왕조를 세운 이후 1394년 11월 26일 한양으로 천도한 이후 오늘에 이르는 600여년간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한국 민족사의 중심역할을 하는 수도로 발전했다.
한강 다리는 수도 서울의 문화 발달과 그 쾌를 같이 한다. 한강 이남 지역으로 이동하거나 각 종 특상품을 궁으로 옮기가 위해서는 반드시 한강을 거쳐야 했기 때문이다.
국왕도 선왕의 능에도 참배하고 온천에 가거나 나들이를 하기 위해 1년에 몇번씩은 한강을 건너야만 했다. 이같이 국왕 행렬이 도강할 수 있도록 큰 배 70여척을 가로로 이어 서로 묶은 뒤 그 위에 널판지를 깔아 5, 6필의 기마가 옆으로 서서 자유로이 건널 수 있도록 오늘날의 부설교와 같은 교량을 세우곤 했는데 이것이 한강 다리의 시초다.
이때 백성의 배를 일정기간 징발해 사용했는데 임시 다리를 놓는데 한 달, 해체하는데 한 달이 걸려 이를 이용 못하게된 백성들의 원성을 사기도 했다.
그 후 수도 서울을 중심으로 한 생활권의 확장과 더불어 교통량이 증가되고 한강을 도강하는 보다 많은 물동량의 수송이 요구됐다. 토목기술의 발달로 한강에 최초로 건설된 교량은 경인철도부설공사와 병행한 용산과 노량진간을 연결하는 한강철도교다. 이 다리는 1897년 착공해 1900년에 준공됐다.
이 교량을 시점으로 지금은 도로교 16개와 철도교 4개교, 철도와 도로를 병행 사용하는 교량 4개소 등 총 27개의 교량이 한강 위에 놓였다. 그 동안 토목기술이 눈부시게 발전해 27개의 다리는 저마다 다른 형식으로 세워져 시민들의 교통편의를 도모하는 동시에 아름다운 자태로 서울시민에게 볼거리를 제공하고 있다.
◆ 한강 다리의 역사, 구조, 기능에 대해 배워볼까요?
“한강의 다리는 몇 개일까요?”
한강에 놓인 다리들이 어떻게 다른지, 어떤 이야기들이 얽혀 있는지 궁금해 하는 어린이들을 위해 한강 다리에 대해 공부하고 상상력을 키울 수 있는 ‘2016 한강의 다리 어린이 교육’이 서울시 한강사업본부 주관으로 3일부터 3주간 매주 토·일요일 뚝섬 자벌레에서 열린다.
토요일에는 ▲2016, 한강 다리 만나기를 주제로 서울시계(市界)에 있는 한강 다리들에 대해 집중적으로 알아본다. 일요일에는 ▲2046, 한강 다리 만나기를 주제로 30년 후 한강 다리의 모습을 상상해보고 그 모습을 모형으로 만들어보는 시간으로 진행된다. 특히 한강의 다리 워크북(workbook)을
참여는 초등학교 3~6학년 대상이며, 신청은 서울시 공공서비스예약를 통한 온라인 사전접수를 통해 하면된다. 뚝섬 자벌레는 7호선 뚝섬유원지역 3번 출구로 나오면 있다.
[디지털뉴스국 조성신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