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에 대한 검찰 소환 조사가 16시간이나 걸린 배경을 두고 해석이 무성하다. 검찰은 신 회장이 미르·K스포츠재단 강제 모금 의혹 등과 관련해 지난 15일 오후 2시 참고인 신분으로 출석해 조사를 받다가 이튿날인 16일 새벽 5시 30분께 귀가했다고 밝혔다.
대기업 총수치고는 이례적으로 조사 시간이 길었던 이유는 크게 세가지가 꼽힌다. 첫째, 신 회장이 한국말에 서툴고 조서를 확인하는 데 다른 총수들보다 배 이상 긴 시간이 필요했다고 한다. 지난 9월 20일 탈세 횡령 등 혐의의 피의자 신분으로 검찰 소환 조사를 받을 때도 18시간이 걸렸다. 당시 검찰은 “조사는 전날 밤 11시 반 끝났는데 신 회장이 조서를 매우 꼼꼼하게 읽고 문장들의 의미를 하나하나 되물어 4시간 이상 더 걸렸다”고 설명한 바 있다. 이날 롯데 측도 같은 이유를 들었다.
둘째, 올 3월로 알려진 박근혜 대통령과 신 회장의 독대와 K스포츠재단에 대한 롯데의 추가 70억원 출연 및 반환 과정에서 따져 물을게 많았기 때문으로 보인다. 일부 언론은 박 대통령이 신 회장에게 70억 원 추가 출연을 종용했다는 가정을 전제하고 의혹을 제기했다. 지난 6월 10일 검찰이 전방위 압수수색과 함께 롯데 비리 의혹에 대해 대대적인 수사를 벌일 거라는 점을 두 사람 다 인지하고 있었던 것 아니냐는 의혹이다. 이 때문에 신 회장은 어쩔 수 없이 추가출연을 결정했고, 그럼에도 수사가 진행되자 낸 돈을 돌려받았다는 취지다.
그러나 매일경제 취재결과 이같은 의혹은 근거가 희박해 보인다. 우선 검찰이 롯데 내사 사실을 대검찰청에 보고한 것은 4월 이후로 확인됐다. 3월 박 대통령과 신 회장이 독대한 시점보다 한참 이후다. 안종범 전 청와대 정책조정수석(57·구속)도 검찰에서 “K스포츠재단에 송금된 70억 원을 반환한 것은 추가 출연에 반대한 내 의견도 영향을 미쳤다”고 진술했다.
셋째, 면세점 사업권에 관련된 추궁이 있었던 것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된다. 롯데면세점 월드타워점은 지난해 12월 특허 재승인에 탈락해 지난 6월 문을 닫았다. 호텔롯데 전체 매출에서 면세사업부가 차지하는 비중은 85%에 달한다. 숙원사업인 호텔롯데 상장을 위해서는 월드타워점 특허가 중요한 변수가 될 수 있는 셈이다. 특히 독대 이후인 지난 4월 관세청이 서울 시내 면세점 추가 특허 4장을 발급하겠다고 발표했다. 롯데면세점 부활의 기회가 생긴 것이다. 미르재단에 28억원을 후원한 롯데그룹 계열사도 롯데면세점이다.
신 회장은 그러나 검찰 조사에서
[손일선 기자 / 전지성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