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근이 많고 밤 늦게까지 활동하는 경우가 많은 한국에서 글로벌 커피 전문점인 스타벅스도 가장 늦게 점포 불을 끄는 것으로 조사됐다.
8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스타벅스 웹사이트를 기준으로 서울 내 383개 매장 정보를 확인한 결과 국내 스타벅스 점포의 평일 기준 영업시간은 오전 7시∼오후 11시로, 주문을 마치는 평균 영업 종료 시간은 오후 10시 36분이었다.
백화점이나 대학교 등 특정 공간 내 점포는 영업이 일찍 끝나는 편이었지만, 지역별 차이는 거의 없었다.
이같은 운영 시간은 최근 장시간 노동으로 매장에서 과로사가 잇따라 발생한 일본 도쿄보다 약 30분 많은 것이다. 도쿄 전체 298개 스타벅스 매장은 평일 기준 오후 10시 6분께 주문을 마쳤다. 오전 1∼2시 이후까지 영업하는 11개 매장을 빼면 문 닫는 시간은 오후 9시 56분이었다.
중국 베이징 도심 50개 매장은 주중 평균 오후 9시 29분까지 영업했다. 서울보다 1시간 이상 일찍 문을 닫는 셈이다.
홍콩의 중심부 50개 매장은 평균 오후 9시 58분에 영업을 마쳤다.
미국과 유럽 주요 도시의 스타벅스도 아시아보다 훨씬 일찍 문을 닫았다. 서울과의 차이는 크게는 1시간 40분 넘게 났다.
미국 뉴욕 맨해튼 남쪽의 50개 매장은 평균 오후 9시 1분 하루 영업을 마감했고, 영국 런던에서는 오후 9시 11분, 독일 베를린은 9시 9분까지 매장을 운영했다. 런던이나 뉴욕 등의 개점 시간은 평균 오전 6시께로 서울보다 약 1시간 빨랐다.
프랑스 파리는 영업 종료 시간이 오후 8시 52분으로 가장 일찍 문을 닫는 주요 도시들 가운데 하나였다. 하지만 서울에서는 9시 전에 문 닫는 매장이 3%밖에 없다.
서울 매장의 영업 종료 시간에 대해 스타벅스코리아 관계자는 "영업 종료 시간은 수요에 따라 정하는 것"이라면서 "아무래도 한국에서 야근도 많이 하고 다른 심야 활동도 활발하기 때문인 것 같다"고 설명했다.
한국에서 스타벅스는 오후 11시가 넘도록 운영하는 매장이 거의 없지만 다른 커피숍은 24시간 매장도 많다. 탐앤탐스의 경우 서울의 매장 160개 가운데 24시간 운영매장이 71개로 44%다.
김종진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연구위원은 "한국의 커피숍이나 백화점, 마트가 영업시간이 길고 휴일도 거의 없다"면서 "유럽은 대부분 일찍 집
이어 "주5일제를 적용받는 사람도 65% 남짓밖에 되지 않는다"면서 초과근로에 대해 휴가로 보상하는 독일식 '노동시간계좌제' 등으로 업무 효율성을 높이거나 주당 노동시간 제한 필요성을 강조했다.
[디지털뉴스국 박소현 인턴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